가능/불능 > 가능/허용 | 可得而 A | A할 수 있다 | |
대표 : 可 A
동의 : A 可 B ; A 得 ; A 得以 B ; 可 A ; 可得 A ; 能 A ; 得 A ; A 可以 B ; A 足用 B ; A 足以 B ; A 不可 B ; A 不能以 B ; A 不足以 B ; 莫 A ; 莫能 A ; 無 A ; 不可 A ; 不能 A ; 不得 A ; 不足 A ; A 不可以 B ; 未可 ; 不可 A ; A 可也 ; A 可矣 ; 可 A ; A 可以 B ; 可得而 A ; 得而 A ; 難得而 A 也 ; 不得而 A 也 ; 須 A ; 須是 A ; |
1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 ||
---|---|---|
1 | 然이나 二帝三王之治는 本於道하고 二帝三王之道는 本於心하니 得其心이면 則道與治를 固可得而言矣라 何者오 精一執中은 堯舜禹相授之心法也요 建中建極은 商湯周武相傳之心法也니 曰德 曰仁 曰敬 曰誠이 言雖殊나 而理則一이니 無非所以明此心之妙也라 <書經, 書經集傳序> | |
그러나 이제·삼왕의 정치는 도(道)에 근본하였고, 이제·삼왕의 도는 심(心)에 근본하였으니, 그 마음을 얻는다면 도와 정치를 진실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어째서인가? 정일과 집중은 요임금·순임금·우임금이 서로 전수한 심법이고, 건중·건극은 상나라 탕왕과 주나라 무왕이 서로 전수한 심법이다. ‘덕(德)·인(仁)·경(敬)·성(誠)’이 글자[言]는 비록 다르나 이치는 하나이니, 모두 이 마음의 묘함을 밝힌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