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해 자료를 수시 업데이트하고 있어 정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용권한이 없어 일부 기능만 이용이 가능합니다.(하단 참조)
이용 권한이 없습니다. 하단의 '이용 권한 안내'를 참조하세요.
원문 및 의역(Original Text & Liberal Translation)
○子曰 道不行이라 乘桴하여 浮于海호리니 從我者는 其由與인저 子路聞之하고 喜한대 子曰 由也는 好勇이 過我나 無所取材로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도(道)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내가 뗏목을 타고 바다를 항해하려 하니, 나를 따라올 사람은 아마도 유(由자로)일 것이다.”
자로(子路)가 이 말씀을 듣고 기뻐하자,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유는 용맹을 좋아함은 나보다 나으나 사리를 헤아려 의에 맞게 하지 못한다.”
축자직해 정보(Verbal Translation & etc.)
기본토 | 다른토 (H)
자
스승 자 공자(孔子)
ㅣ
2
왈
말할 왈 말하다, 일컫다
。
도
길 도 도(道), 도리(道理)
3
불
아니 불 ~않다
2
행
행할 행 행하다, 시행하다
이라
이란
。
승
탈 승 타다
1
부
마룻대 부 뗏목
야
。
3
부
뜰 부 항해하다
우
어조사 우 ~을/를
1
해
바다 해 바다
호리니
호리니
。
2
종
따를 종 따르다, 따라가다
1
아
나 아 나, 우리
3
자
사람 자 사람
기
아마 기 [추측]아마, 분명
유
말미암을 유 인명(人名)
여
(≒歟)그런가 여 ~일 것이다
뎌
뎌
。
자
사람 자 경칭
2
로
길 로 길
ㅣ
ㅣ
4
문
들을 문 듣다
3
지
그것 지 그, 그것
고
。
희
기쁠 희 기쁘다, 기뻐하다
대
대
。
자
스승 자 공자(孔子)
ㅣ
2
왈
말할 왈 말하다, 일컫다
。
유
말미암을 유 인명(人名)
야
어조사 야 ~은/는, ~이/가
ㅣ
호
좋을 호 좋아하다
용
날랠 용 용(勇), 용맹, 용기
이
이
6
과
나을 과 낫다, 뛰어넘다
5
아
나 아 나, 우리
ㅣ나
ㅣ나
。
무
없을 무 ~없다
3
소
바 소 ~한 바, ~한 것
취
취할 취 취하다, 가지다, 차지하다
2
재
헤아릴 재 판단하여 결정하다
로다
로다
공자가
子
말하였다.
曰
“도가
道
행해지지
行
않으니,
不
뗏목을
桴
타고
乘
바다
海
를
于
항해하려는데,
浮
나를
我
따를
從
자는
者
아마
其
자로(子路)
由
일 것이다.”
與
자로가
子路
그 말을
之
듣고
聞
기뻐하자,
喜
공자가
子
말하였다.
曰
“자로
由
는
也
용맹을
勇
좋아하는 것이
好
나보다
我
나으나,
過
사리를 헤아려 판단하는
取材
바가
所
없다.”
無
한자수준 :
子 曰 道 不 行 乘 桴 浮 于 海 從 我 者 其 由 與 子 路 聞 之 喜 子 曰 由 也 好 勇 過 我 無 所 取 材
중학900 고교900 1800초과
최종수정 : 2025년 5월 4일 오전 6:59:30
이용 권한 안내
▶
서당/서원 정회원, 도서QR, 전자책 링크 : 본 서비스의 전체 정보
전체공개 샘플 보기
- 도서 QR 또는 전자책 링크로 접근한 경우 본 서비스의 페이지 이동이 제한됨. 도서 QR 또는 전자책 링크로만 이용이 가능
▶
非로그인 / 무료회원
- 이용가능 : 원문, (의역), 축자번호, 자음, 현토, 듣기/읽기, 쓰기연습, 언해, 영역 제공
- 이용제한 : 축자익히기, 자의, 패턴, 어휘, 직해, 책갈피, 토론 제공
▶ 각 도서별 첫편 또는 서문 등
첫 챕터 는 권한에 상관 없이 이용 가능
※ 본 첩경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으므로, 공개 범위에 해당이 되더라도 등재중인 자료는 출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