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위치 : > 原文故事成語 > 形勢 > 23 사면초가(四面楚歌) > 1節      51/204


축자역 익히기    보기(단축키) :                  
※ 《원문고사성어(原文故事成語)》 검색 및 비교의 목적으로 원문(原文)만 제공됩니다. 우선 기초한문·사서 등 기본서부터 시작하여 각종 학습정보가 구축되고 있습니다. 이용권한이 없어 일부 기능만 이용이 가능합니다.(하단 참조)
원문 및 의역(Original Text & Liberal Translation)

四面楚歌

項羽至垓下하니 兵少食盡이라 韓信等乘之하니 羽敗入壁한대 圍之數重이라 羽夜聞漢軍四面皆楚歌하고 大驚曰 漢皆已得楚乎 何楚人多也오하고 起飮帳中하며 命虞美人起舞 悲歌慷慨하며 泣數行下 其歌曰 力拔山兮氣蓋世 時不利兮騅不逝 騅不逝兮可奈何 虞兮虞兮奈若何오하다 騅者 羽平日所乘駿馬也 左右皆泣하며 莫敢仰視

‘사방이 초나라 노래’

항우(項羽)가 해하(垓下)에 이르니, 병기는 적고 식량은 다 떨어졌다. 한신(韓信) 등이 이를 틈타서 〈공격하니〉, 항우는 패하여 성벽 안으로 들어갔는데, 그를 포위한 것이 여러 겹이었다. 항우는 밤중에 한나라 군대가 사방에서 모두 초나라 노래 부르는 것을 듣고 크게 놀라서 말하길,

“한나라가 모두 이미 초나라를 얻었는가? 어찌 초나라 사람이 많은가?”

하고, 장막 속에서 일어나 술을 마시고 우미인에게 명하여 일어나 춤추게 하였다. 슬픈 노래는 강개했고 눈물 몇 줄기가 흘러내렸다. 그 노래에 이르길,

“힘은 산을 뽑고 기세는 세상을 덮는데, 때가 이롭지 못하고 추마가 달리지 못하는구나! 추마가 달리지 못하니 어찌할 수 있을까? 우 미인이여! 우 미인이여! 너를 어찌할까?”

하였다. 추마는 항우가 평소 타던 바의 준마이다. 좌우가 모두 울며 감히 우러러보지 못하였다.  

- ≪십팔사략十八史略≫ <서한西漢 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

축자직해 정보(Verbal Translation & etc.)
  • *
    1
     넉 사 
      
  • 2
     향할 면 
     쪽, 방향 
  • 3
     회초리 초 
     국명(國名), 초나라 
  • 4
     노래 가 
     노래 
  •  

     
  • *
    1
     항목 항 
     성씨(姓氏) 
  • 2
     깃 우 
     인명(人名) 
  • 5
      
  • *
    3
     땅가장자리 해 
  • 4
      
  •  

    하니 
  •  
  • 1
      
  • 2
      
  • 3
      
  • 4
      
  •  

    이라 
  •  
  • *
    1
      
  • 2
      
  • 3
      
  • 5
     틈탈 승 
     틈타다 
  • 4
      
  •  

    하니 
  •  
  • *
    1
      
  • 2
      
  • 4
      
  • 3
     벽 벽 
      
  •  

    한대 
  •  
  • 2
     에워쌀 위 
     에워싸다 
  • 1
      
  • 3
     여러 수 
     여럿, 몇 
  • 4
     거듭 중 
     ~겹 
  •  

    이라 
  •  
  • *
    1
      
  • 2
      
  • 10
      
  • 3
      
  • 4
      
  • *
    5
      
  • 6
      
  • 7
      
  • *
    8
      
  • 9
      
  •  

    하고 
  •  
  • 1
      
  • 2
      
  • 3
      
  •  
  • *
    1
      
  • 2
      
  • 3
      
  • 5
      
  • *
    4
      
  • 1
    6
      
  •  

    아 
  •  
  • 2
    1
      
  • *
    2
      
  • 3
      
  • 4
      
  • 2
    5
      
  •  

    오하고 
  •  
  • 3
      
  • 4
      
  • 1
     장막 장 
     장막 
  • 2
      
  •  

    하며 
  •  
  • 3
    4 (6.5)
      
  • *
    1
     염려할 우 
     인명(人名) 
  • 2
      
  • 3
      
  • 5
      
  • 6
     춤출 무 
     춤추다 
  •  

    라 
  •  
  • 1
      
  • 2
      
  • *
    3
     강개할 강 
     강개하다 
  • 4
     분개할 개 
     분개하다 
  •  

    하며 
  •  
  • 1
     울 읍 
     울다 
  • 2
      
  • 3
     줄 행 
     줄, 줄기 
  • 4
      
  •  

    라 
  •  
  • 1
      
  • 2
      
  • 3
      
  •  
  • 1
      
  • 3
     뽑을 발 
     뽑다 
  • 2
      
  • 4
      
  • 5
      
  • 7
     덮을 개 
     덮다 
  • 6
      
  •  

    요 
  •  
  • 1
      
  • 3
      
  • 2
      
  • 4
      
  • 5
     오추마 추 
     오추마, 추마 
  • 7
      
  • 6
     갈 서 
     가다 
  •  

    라 
  •  
  • 1
      
  • 3
      
  • 2
      
  • 4
      
  • 7
      
  • 4
    5
     어찌 내 
     어찌? 
  • 6 (7.5)
     어찌 하 
     어찌, 무슨, 어떤? 
  •  

    오 
  •  
  • *
    1
      
  • 2
      
  • *
    3
      
  • 4
      
  • 5
    6
      
  • 5
      
  • 5
    7
      
  •  

    오하다 
  •  
  • 1
      
  • 2
      
  •  

    는 
  •  
  • *
    1
      
  • 2
      
  • 3
      
  • 5
      
  • 4
      
  • 6
    駿
     준마 준 
     준마 
  • 7
      
  • 8
      
  •  

    라 
  •  
  • *
    1
      
  • 2
      
  • 3
      
  • 4
      
  •  

    하며 
  •  
  • 6
    4
      
  • 1
      
  • 2
      
  • 3
      
  •  

    라 
1 A乎A인가? ; A하는가?  2 何A也어찌 A인가? ; 어찌 A하는가? ; 무엇을 A하는가?  3 命ABA에 명하여 B하게 하다  4 A奈何A를 어찌하겠는가? ; A는 어째서인가? ; A는 어떠한가? ; A를 어떻게 하는가?  5 奈A何A 를 어찌하겠는가? ; A는 어째서인가? ; A는 어떠한가?  6 莫AA는 없다 
*四面楚歌(사면초가)   *項羽(항우)   *垓下(해하)   *韓信(한신)   *(우)   *(초)   *(한)   *虞美人(우미인)   *慷慨(강개)   *(우)   *左右(좌우)  
  • 사방이 
    四面
  • 초나라 
  • 노래: 
  • 항우(項羽)가 
    項羽
  • 해하(垓下)에 
    垓下
  • 이르니, 
  • 병기는 
  • 적고 
  • 식량은 
  • 다 떨어졌다. 
  • 한신(韓信) 
    韓信
  • 등이 
  • 이를 
  • 틈타서 
  • 〈공격하니〉, 
    <補充>
  • 항우는 
  • 패하여 
  • 성벽 안으로 
  • 들어갔는데, 
  • 그를 
  • 포위한 것이 
  • 여러 
  • 겹이었다. 
  • 항우는 
  • 밤중에 
  • 한나라 
  • 군대가 
  • 사방에서 
    四面
  • 모두 
  • 초나라 
  • 노래 부르는 것을 
  • 듣고 
  • 크게 
  • 놀라서 
  • 말하길, 
  • “한나라가 
  • 모두 
  • 이미 
  • 초나라를 
  • 얻었
  • 는가? 
  • 어찌 
  • 초나라 
  • 사람이 
  • 은가?” 
  • 하고, 
    <補充>
  • 장막 
  • 속에서 
  • 일어나 
  • 술을 마시고 
  • 우미인에게 
    虞美人
  • 명하여 
  • 일어나 
  • 춤추
  • 게 하였다. 
    (命)
  • 슬픈 
  • 노래는 
  • 강개했고 
    慷慨
  • 눈물 
  • 몇 
  • 줄기가 
  • 흘러내렸다. 
  • 그 
  • 노래에 
  • 이르길, 
  • “힘은 
  • 산을 
  • 고 
  • 기세는 
  • 세상을 
  • 덮는데, 
  • 때가 
  • 이롭지 
  • 못하
  • 고 
  • 추마가 
  • 달리지 
  • 못하는구나! 
  • 추마가 
  • 달리지 
  • 못하
  • 니 
  • 어찌할 
    奈何
  • 수 있
  • 을까? 
    (何)
  • 우 미인
  • 이여! 
  • 우 미인
  • 이여! 
  • 너를 
  • 어찌할까?” 
    奈何
  • 하였다. 
    <補充>
  • 추마
  • 는 
  • 항우가 
  • 평소 
    平日
  • 타던 
  • 바의 
  • 준마
    駿馬
  • 이다. 
  • 좌우가 
    左右
  • 모두 
  • 울며 
  • 감히 
  • 우러러
  • 보지 
  • 못하였다. 
한자수준 : 駿 중학900고교9001800초과
교재문장번호 : 24
최종수정 : 2025년 9월 30일 오전 2:35:19
이용 권한 안내
서당/서원 정회원, 도서QR, 전자책 링크 : 본 서비스의 전체 정보 전체공개 샘플 보기
    - 도서 QR 또는 전자책 링크로 접근한 경우 본 서비스의 페이지 이동이 제한됨. 도서 QR 또는 전자책 링크로만 이용이 가능
非로그인 / 무료회원
    - 이용가능 : 원문, (의역), 축자번호, 자음, 현토, 듣기/읽기, 쓰기연습, 언해, 영역 제공
    - 이용제한 : 축자익히기, 자의, 패턴, 어휘, 직해, 책갈피, 토론 제공
▶ 각 도서별 첫편 또는 서문 등 첫 챕터는 권한에 상관 없이 이용 가능
※ 본 첩경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으므로, 공개 범위에 해당이 되더라도 등재중인 자료는 출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


  • 학습도구 ◁▷
  • 기본학습도구
  • 토론(討論)
  • 듣기/읽기(音源)(S)
  • 쓰기연습(W)
  • 동영상(動映像)(V)
  • 자의(字義)
  • 패턴(熟語)
  • 어휘(詞典)
  • 심화학습도구
    (중급이상)
  • 언해(諺解)(T)
  • 영역(英譯)(E)
  • 원주(原注)(O)
  • 주소(注疏)
  • 원전(原典)(I)
  • 보조학습도구
  • 책갈피(附箋)
  • 왕조도(王朝圖)
  • 동양연표(東洋年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