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고조가 일찍이 조용히 한신과 함께 여러 장수들의 잘하는 것과 그렇지 못한 것을 말하였는데, 각각 차이가 있었다. 고조가 묻기를,
“나 같은 사람은 얼마를 거느릴 수 있는가?”
하니, 한신이 말하길,
“폐하는 십만을 거느릴 수 있는데 불과합니다.”
하였다. 고조가 말하길
“그대에게는 어떠한가?”
하니, 〈한신이〉 말하길,
“신은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습니다.”
하였다. 고조가 웃으며 말하길,
“많으면 많을수록 더욱 좋다면, 어찌하여 나에게 사로잡히었는가?”
하니, 한신이 말하길,
“폐하는 병사를 거느릴 수 없지만, 장수를 잘 거느립니다. 이것이 바로 제가 폐하에게 사로잡힌 까닭입니다. 또 폐하는 이른바 하늘이 준 것이지 사람의 힘이 아닙니다.”
하였다.
- ≪사기史記≫ <회음후열전淮陰侯列傳>
축자직해 정보(Verbal Translation & etc.)
*
1
多
다
많을 다 많다, 많아지다
2
多
다
많을 다 많다, 많아지다
3
益
익
더할 익 더욱
4
善
선
잘할 선 훌륭하다, 좋다
*
1
上
상
2
常
상
*
3
從
종
4
容
용
1
6
與
여
*
5
信
신
11
言
언
*
7
諸
제
8
將
장
*
9
能
능
10
不
불
한대
。
1
各
각
3
有
유
2
差
차
다를 차 차이, 차등
라
。
*
1
上
상
2
問
문
3
曰
왈
。
2
如
여
1
我
아
6
能
능
5
將
장
2
3
幾
기
4(6.5)
何
하
오하니
。
*
1
信
신
2
曰
왈
。
1
陛
폐
섬돌 폐 대궐 섬돌
2
下
하
3
7
不
불
8
過
과
3
6
能
능
5
將
장
3
十
십
4
萬
만
이니이다하다
。
1
上
상
2
曰
왈
。
2
於
어
1
君
군
4
3
何
하
4
如
여
오하니
。
1
曰
왈
。
1
臣
신
*
2
多
다
3
多
다
4
而
이
5
益
익
6
善
선
5
7
耳
이
어조사 이 ~이다
니이다하다
。
*
1
上
상
2
笑
소
3
曰
왈
。
*
1
多
다
2
多
다
3
益
익
4
善
선
이면
。
6
1
何
하
2
爲
위
7
5
爲
위
될 위 [피동]되어지다
3
我
아
4
禽
금
(≒擒)사로잡을 금 사로잡다
고하니
。
*
1
信
신
2
曰
왈
。
1
陛
폐
2
下
하
3
6
不
불
5
能
능
4
將
장
거느릴 장 거느리다
3
兵
병
이나
。
1
而
이
말 이을 이 [역접]~하나, 그러나, ~이지만
3
善
선
잘할 선 잘하다
4
將
장
거느릴 장 거느리다
2
將
장
장수 장 장수, 장군
이니이다
。
1
此
차
2
乃
내
*
3
信
신
8
4
之
지
9
所
소
10
以
이
7
8
爲
위
될 위 [피동]되어지다
5
陛
폐
6
下
하
7
禽
금
8
11
也
야
라
。
1
且
차
2
陛
폐
3
下
하
9
5
所
소
4
謂
위
6
天
천
7
授
수
요
。
3
非
비
1
人
인
2
力
력
4
也
야
니이다하다
1與AB:A와 B하다2A幾何:A는 얼마인가?3不能A:A할 수 없다4A何如:A를 어찌하겠는가? ; A는 어째서인가? ; A는 어떠한가? ; A를 어떻게 하는가?5A耳:A일 뿐이다6何爲A:무엇 때문에 A하는가? ; 어찌하여 A 하는가?7爲AB:A에게 B하게 되다 ; A에게 B받다(당하다)8A之所以B也:A가 B한 것 ; A가 B한 까닭이다9所謂A:A라고 하는 것은 ; 이른 바 A는*多多益善(다다익선)*上(상)*從容(종용)*信(신)*諸將(제장)*能不(능불)
▶ 서당/서원 정회원, 도서QR, 전자책 링크 : 본 서비스의 전체 정보 전체공개 샘플 보기
- 도서 QR 또는 전자책 링크로 접근한 경우 본 서비스의 페이지 이동이 제한됨. 도서 QR 또는 전자책 링크로만 이용이 가능
▶ 非로그인 / 무료회원
- 이용가능 : 원문, (의역), 축자번호, 자음, 현토, 듣기/읽기, 쓰기연습, 언해, 영역 제공
- 이용제한 : 축자익히기, 자의, 패턴, 어휘, 직해, 책갈피, 토론 제공
▶ 각 도서별 첫편 또는 서문 등 첫 챕터는 권한에 상관 없이 이용 가능
※ 본 첩경은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되고 있으므로, 공개 범위에 해당이 되더라도 등재중인 자료는 출력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