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비자韓非子와 ≪한비자韓非子≫
한비자(B.C. 280~B.C. 233)는 진秦나라가 천하를 통일할 무렵인 전국시대 말기 인물로, 이름은 비非이며 한韓나라 공자公子출신이다. 한비자에 관한 기록은 ≪사기史記≫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에 상세하게 보이며, ≪전국책戰國策≫ <진책秦策>, ≪사기≫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한세가韓世家>?<육국표六國表> 등에서 산견散見된다.
한비자는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한비자 이전에 법치法治를 주장한 상앙商?, 신불해申不害, 신도愼到가 있었으나, 유독 한비자를 법가의 대표 사상가로 여기는 것은 무슨 이유인가?
한비자는 그의 스승인 순자荀子의 영향을 받았으나 ‘예禮’에 의한 교화敎化에 역점을 둔 순자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상賞과 벌罰을 수단으로 하는 ‘법法’에 의한 다스림을 주장하였다. 한비자는 <육반六反>에서 부모가 아들과 딸을 대하는 태도가 계산적인 마음[計算之心]에서 나옴을 주장하면서 상벌의 효용效用을 역설하였다. 결국 정령政令으로 계도하고 형벌刑罰로 다스려야 천하의 태평을 보증할 수 있으며, 군주는 도덕이나 인륜적 교화에 힘쓸 것이 아니라 ‘세勢’에 의지하고, ‘술術’을 쥐어야 하며, ‘법法’을 집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에서 법을 강조한 상앙과 술을 강조한 신불해, 세를 강조한 신도의 사상이 한비자의 통치술로 융합된다. 이후 한비자의 사상과 그의 저술 ≪한비자≫는 법가 사상을 종합한 결과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왔다.
1-1 강 | ![]() |
38분 26초 |
수강
-
![]() |
1-2 강 | ![]() |
50분 48초 |
수강
-
![]() |
2-1 강 | ![]() |
56분 50초 |
수강
-
![]() |
2-2 강 | ![]() |
47분 37초 |
수강
-
![]() |
3-1 강 | ![]() |
1시간 00분 42초 |
수강
-
![]() |
3-2 강 | ![]() |
44분 18초 |
수강
-
![]() |
4-1 강 | ![]() |
57분 39초 |
수강
-
![]() |
4-2 강 | ![]() |
48분 15초 |
수강
-
![]() |
5-1 강 | ![]() |
57분 39초 |
수강
-
![]() |
5-2 강 | ![]() |
46분 25초 |
수강
-
![]() |
6-1 강 | ![]() |
1시간 01분 54초 |
수강
-
![]() |
6-2 강 | ![]() |
46분 06초 |
수강
-
![]() |
7-1 강 | ![]() |
57분 12초 |
수강
-
![]() |
7-2 강 | ![]() |
44분 07초 |
수강
-
![]() |
8-1 강 | ![]() |
56분 19초 |
수강
-
![]() |
8-2 강 | ![]() |
38분 53초 |
수강
-
![]() |
9-1 강 | ![]() |
58분 41초 |
수강
-
![]() |
9-2 강 | ![]() |
42분 44초 |
수강
-
![]() |
10-1 강 | ![]() |
1시간 02분 24초 |
수강
-
![]() |
10-2 강 | ![]() |
38분 52초 |
수강
-
![]() |
11-1 강 | ![]() |
1시간 00분 12초 |
수강
-
![]() |
11-2 강 | ![]() |
44분 36초 |
수강
-
![]() |
12-1 강 | ![]() |
57분 54초 |
수강
-
![]() |
12-2 강 | ![]() |
42분 04초 |
수강
-
![]() |
13-1 강 | ![]() |
59분 48초 |
수강
-
![]() |
13-2 강 | ![]() |
41분 04초 |
수강
-
![]() |
14-1 강 | ![]() |
57분 36초 |
수강
-
![]() |
14-2 강 | ![]() |
1시간 00분 04초 |
수강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