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所以 > 원인/도구 A 故也 A한/할 것(=所以:까닭/원인/도구/방법)
대표 : 所以 A
동의 : 亡以 A ; 無所 A ; 無以 A ; 未有以 A ; 非有以 A ; 所由 A ; 所以 A ; 所以 A ; A 故也 ; A 故也 ; 有以 A ; A ; A 故也 ; A ; A 者也 ; A 之所 B ; A 之所以 B ; A 之所以 B 者也 ; A 者則以 B ; A 之所 B ; A 之所以 B ; A 所以 B ; A 所以 B ; A 所以 B 之法 ; A 所以 B 之術 ; AB ; A 者 所以 B ; A 者 所以 B ; AB 故也 ; AB ; AB 之所 C ; AB 之所以 C ; A 者緣 B 故也 ; AB 也 以 C ; ABC ; A 之所 BC ; A 之所以 B ; A 之所以 B 者 以 C ; A 之所以 B 者 以 C ; A 之所以 BC ; A 者 爲 B ; A 者 以 B ; 所以 AB ; 所以 A 者 爲 B ; 所以 A 者 以 B ; 所以 A 者 以 B ; 所以 AB ; 所以 AB ; A 者 以 B ; A 之所以 BC ;
以는 A한/할 것으로 所以(까닭/원인/도구/방법)의 생략형이다.

'所以 A' 에서 '所'가 생략된 형태
2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1 讀書章 第四: 學者常存此心하여 不被事物所勝이요 而必須窮理明善然後 當行之道 曉然在前하여 可以進步 入道莫先於窮理하고 窮理莫先乎讀書하니 聖賢用心之迹 及善惡之可效可戒者 皆在於書니라 <[新編]擊蒙要訣, 擊蒙要訣>  
다섯째, 독서에 대한 글: 배우는 사람은 항상 이 마음을 보존하여 사물이 나를 이기는 상황이 되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반드시 이치를 궁구하여 선을 밝힌 뒤에, 마땅히 행해야 할 길이 분명하게 앞에 있어서 진보할 수 있다. 그러므로 도에 들어가는 것은 이치를 궁구하는 것보다 먼저할 것이 없고, 이치를 궁구하는 것은 책을 읽는 것보다 먼저할 것이 없으니, 성현께서 마음을 쓰신 자취와 선과 악 가운데 본받을 만하고 경계할 만한 것이 모두 책에 있기 때문이다.
2 少昊之立 鳳鳥至 故以鳥紀官하니 如祝鳩司徒 雎鳩司馬 是也 人皇 黃帝也 人文大備 <9, 天地人之道>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