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所以 > 원인/도구 A 者 所以 B A는 B하는 것이다
대표 : 所以 A
동의 : 亡以 A ; 無所 A ; 無以 A ; 未有以 A ; 非有以 A ; 所由 A ; 所以 A ; 所以 A ; A 故也 ; A 故也 ; 有以 A ; A ; A 故也 ; A ; A 者也 ; A 之所 B ; A 之所以 B ; A 之所以 B 者也 ; A 者則以 B ; A 之所 B ; A 之所以 B ; A 所以 B ; A 所以 B ; A 所以 B 之法 ; A 所以 B 之術 ; AB ; A 者 所以 B ; A 者 所以 B ; AB 故也 ; AB ; AB 之所 C ; AB 之所以 C ; A 者緣 B 故也 ; AB 也 以 C ; ABC ; A 之所 BC ; A 之所以 B ; A 之所以 B 者 以 C ; A 之所以 B 者 以 C ; A 之所以 BC ; A 者 爲 B ; A 者 以 B ; 所以 AB ; 所以 A 者 爲 B ; 所以 A 者 以 B ; 所以 A 者 以 B ; 所以 AB ; 所以 AB ; A 者 以 B ; A 之所以 BC ;
以는 A한/할 것으로 所以(까닭/원인/도구/방법)의 생략형이다.
2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1 所謂治國 必先齊其家者 其家 不可敎 而能敎人者 無之 君子 不出家而成敎於國하나니 事君 事長 使衆니라 <四書독해첩경, 大學>  
이른바 ‘나라를 다스림에는 반드시 먼저 제 집안을 가지런히 해야 한다.’는 것은 자신의 집안을 교화할 수 없으면서 남을 교화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는 것이니, 그러므로 군자는 집을 〈다스리는 법도를〉 벗어나지 않고도 나라에 가르침을 이룰 수 있다. 효(孝)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고, 제(悌)는 어른을 섬기는 것이고, 자(慈)는 백성을 부리는 것이다.
2 所謂治國 必先齊其家者 其家 不可敎 而能敎人者 無之 君子 不出家而成敎於國하나니 事君 事長 使衆니라 <大學, 傳>  
이른바 ‘나라를 다스림에는 반드시 먼저 제 집안을 가지런히 해야 한다.’는 것은 자신의 집안을 교화할 수 없으면서 남을 교화할 수 있는 사람은 없다는 것이니, 그러므로 군자는 집을 〈다스리는 법도를〉 벗어나지 않고도 나라에 가르침을 이룰 수 있다. 효(孝)는 임금을 섬기는 것이고, 제(悌)는 어른을 섬기는 것이고, 자(慈)는 백성을 부리는 것이다.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