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부정 > 이중부정 非不 A A하지 않은 것은 아니다
대표 : 無不 A
동의 : 莫不 A ; 莫非 A ; 罔不 A ; 無不 A ; 無非 A ; 無所不 A ; 無有不 A ; 靡不 A ; 不不 A ; 不爲不 A ; 非不 A ; 絶無 A ; 絶不 A ; AB ; AB ; AB ; A 而不 B ;
5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1 梨栗枾棗之果佳也로되 其香芬芳이라 果以橘柚爲珍하고 蘿蔔蔓菁諸瓜之菜多也로되 其味辛烈이라 菜以芥薑爲重하나니라 <啓蒙篇, 物篇>  
배, 밤, 감, 대추의 과실이 맛이 아름답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그 향이 향기로운 까닭에 과실은 귤과 유자를 보배로 여기고, 무, 순무와 여러 오이의 채소는 종류가 많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그 맛이 매운 까닭에 채소는 겨자와 생강을 귀중하게 여긴다.
2 自上古 不屬爲人이니이다 漢數千里爭利 則人馬罷리니 虜以全制其敝니이다 且彊弩之極矢 不能穿魯縞하고 衝風之末力 不能漂鴻毛니이다 이나 末力衰也니이다 擊之不便이니 不如和親이니이다하다 群臣議者 多附安國이라 於是上許和親이라 <原文故事成語, 形勢>  
3 窮理修身 斯學之大 明命赫然하여 罔有內外하니 德崇業廣이라야 乃復其初이어니 今豈有餘리오 <小學, 小學題辭>  
이치를 연구하고 자신을 수양하는 것은 이 학문의 큰 것이니, 밝은 명이 환하여 안팎이 있지 않으니 덕이 숭상되고 업이 넓혀져야 그 처음을 회복한다. 옛적에도 부족한 것이 아니었는데 지금에 어찌 남음이 있겠는가?
4 高也深也 兵革 堅利也 米粟 多也로되 委而去之하나니 是地利不如人和也니라 <四書독해첩경, 孟子>  
성이 높지 않은 것이 아니고 못이 깊지 않은 것이 아니고 병기와 갑옷이 견고하고 예리하지 않은 것이 아니고 양식이 적은 것이 아니지만 버리고서 성을 떠나니, 이것이 지리가 인화(人和)만 못한 것이다.
5 高也深也 兵革 堅利也 米粟 多也로되 委而去之하나니 是地利不如人和也니라 <孟子, 公孫丑下>  
성이 높지 않은 것이 아니고 못이 깊지 않은 것이 아니고 병기와 갑옷이 견고하고 예리하지 않은 것이 아니고 양식이 적은 것이 아니지만 버리고서 성을 떠나니, 이것이 지리가 인화(人和)만 못한 것이다.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