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부정 > 이중부정 無非 A A 아닌 것이 없다 ; 모두 A이다
대표 : 無不 A
동의 : 莫不 A ; 莫非 A ; 罔不 A ; 無不 A ; 無非 A ; 無所不 A ; 無有不 A ; 靡不 A ; 不不 A ; 不爲不 A ; 非不 A ; 絶無 A ; 絶不 A ; AB ; AB ; AB ; A 而不 B ;
7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1 春則萬物生하고 夏則萬物長하며 秋則萬物成熟하고 冬則萬物閉藏하나니 然則萬物之所以生長收藏 四時之功也니라 天篇이라 <啓蒙篇, 天篇>  
봄이면 만물이 생겨나고, 여름이면 만물이 자라며, 가을이면 만물이 익고, 겨울이면 만물이 거두어 감춘다. 그렇다면 만물이 생겨나서 자라나며, 거두어지고 감추어지는 까닭은 사계절의 공효가 아닌 것이 없다. 오른쪽은 천편이다.
2 金木水火土 在天 爲五星이요 在地 爲五行이라 金以爲器하고 木以爲宮하며 生於土한데 取水火하여 爲飮食하나니 則凡人日用之物 五行之物也니라 <啓蒙篇, 地篇>  
금목수화토는 하늘 에서 오성이 되고, 땅에서 오행이 된다. 쇠로써 그릇을 만들고 나무로써 집을 만들며 곡식이 흙에서 나면 물과 불을 취해서 음식이 되니, 곧 모든 사람들이 평소에 사용하는 물건이 오행의 물건이 아님이 없다.
3 稻粱黍稷 祭祀之所以供粢盛者也 豆菽麰麥之穀養人命之物이라 百草之中 穀植 最重이요 犯霜雪而不凋하고 閱四時而長春者 松柏也 衆木之中 松柏 最貴니라 <啓蒙篇, 物篇>  
벼, 조기장, 피는 제사에 제물로 바치는 것이고, 콩, 보리의 곡식은 또한 사람의 목숨을 기르는 물건이 아닌 것이 없다. 그러므로 온갖 풀의 가운데 곡물을 심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서리와 눈이 범하여도 시들지 않고, 사계절을 지내도 항상 봄날인 것은 소나무와 잣나무이다. 뭇 나무의 가운데 소나무와 잣나무가 가장 귀하다.
4 爲明廟朝名臣이라 其學問有淵源하고 而門路亦甚正하니 觀於此編하면 則可知矣 其該括約說 學問中體認一大公案이요 而所序歷代 又史家之總目也 <童蒙先習, 跋文>  
공은 명종(明宗)때의 명신(名臣)이다. 그 학문은 연원이 있고 문로 또한 매우 바르니 이 글을 보면 알 수 있다. 그 포괄하고 요약된 설명이 학문하는 가운데 몸소 알게 된 일대 공안이 아닌 것이 없고 역대를 서술한 것은 또 역사가의 총목이다.
5 晏子對曰 善哉 問也 天子適諸侯曰巡狩 巡狩者 巡所守也 諸侯朝於天子曰述職이니 述職者 述所職也 事者 春省耕而補不足하며 秋省斂而助不給하나니 夏諺曰 吾王 不遊 吾何以休 吾王 不豫 吾何以助리오 一遊一豫 爲諸侯度라하니이다 <孟子, 梁惠王下>  
안자(晏子)가 대답하길 ‘좋습니다. 질문이. 천자가 제후에게 가는 것을 순수(巡狩)라 하니, 순수란 지키는 곳을 돌아보는 것입니다. 제후가 천자(天子)에게 조회하는 것을 술직(述職)이라 하니 술직이란 맡은 것을 보고하는 것이니 〈순수와 술직이〉 정사가 아닌 것이 없습니다. 〈임금이〉 봄에는 김매는 것을 살펴서 부족한 것을 보충해주고, 가을에는 수확량을 살펴서 넉넉하지 않은 곳을 도와줍니다. 하(夏)나라 속담에 이르길, 「우리 왕이 놀지 않으면 우리가 무엇으로 쉬겠는가? 우리 왕이 즐기지 않으면 우리가 무엇으로 도움받겠는가? 한번 놀고 한번 즐기는 것이 제후의 법도가 된다.」 하였습니다.
6 自耕稼陶漁 以至爲帝 取於人者러시다 <孟子, 公孫丑上>  
밭 갈고 곡식 심으며 질그릇 굽고 고기 잡을 때부터 황제가 될 때까지 남에게서 취하지 않은 것이 없었다.
7 이나 二帝三王之治 本於道하고 二帝三王之道 本於心하니 得其心이면 則道與治 固可得而言矣 何者 精一執中 堯舜禹相授之心法也 建中建極 商湯周武相傳之心法也 曰德 曰仁 曰敬 曰誠 言雖殊 而理則一이니 所以明此心之妙也 <書經, 書經集傳序>  
그러나 이제·삼왕의 정치는 도(道)에 근본하였고, 이제·삼왕의 도는 심(心)에 근본하였으니, 그 마음을 얻는다면 도와 정치를 진실로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어째서인가? 정일과 집중은 요임금·순임금·우임금이 서로 전수한 심법이고, 건중·건극은 상나라 탕왕과 주나라 무왕이 서로 전수한 심법이다. ‘덕(德)·인(仁)·경(敬)·성(誠)’이 글자[言]는 비록 다르나 이치는 하나이니, 모두 이 마음의 묘함을 밝힌 것이다.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