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부정 > 이중부정 | 絶無 A | A가 전혀 없다 | |
|
대표 : 無不 A
동의 : 莫不 A ; 莫非 A ; 罔不 A ; 無不 A ; 無非 A ; 無所不 A ; 無有不 A ; 靡不 A ; 不不 A ; 不爲不 A ; 非不 A ; 絶無 A ; 絶不 A ; 亡 A 亡 B ; 無 A 無 B ; 無 A 不 B ; 無 A 而不 B ; |
|||
| 3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 ||
|---|---|---|
| 1 | 家貧市遠하여 絶無兼味라 惟淡泊하니 是愧耳라 <漢文독해기본패턴, 문장 유형별 패턴 1> | |
| 집이 가난하고 시장이 멀어서 전혀 맛있는 음식이 없다. 오직 담박한 음식 뿐이니, 이것이 부끄러울 따름이다. | ||
| 2 | 家貧市遠하여 絶無兼味하니 惟淡泊是愧耳라 <漢文독해기본패턴, 문장 유형별 패턴 1> | |
| 집이 가난하고 시장이 멀어서 전혀 맛있는 음식이 없으니, 오직 담박한 음식 을 부끄러워 할 따름이다. | ||
| 3 | 借鷄騎還: 金先生善談笑라 嘗訪友人家한대 設酌에 只蔬菜라 主人先謝曰 家貧市遠하여 絶無兼味라 惟淡泊하니 是愧耳라하다 適有群鷄하여 亂啄庭하니 金曰 大丈夫不惜千金이라 當斬吾馬하여 佐酒하리라하니 主人曰 斬馬면 騎何物而還고하니 金曰 借鷄騎還이라하다 主人大笑하고 殺鷄餉之라 <原文故事成語, 才致> | |
| 집이 가난하고 시장이 멀어 전혀 맛있는 음식이 없다. 오직 담박한 음식뿐이니 이것이 부끄러울 뿐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