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의문/반어 > 부정/반어 | 胡不 A | 어찌 A 하지 않겠는가? | |
대표 : 盍 A 乎
동의 : 曷不 A ; 豈非 A 哉 ; 那能不 A ; 孰不 A ; 何莫 A ; 何不 A ; 何不 A 也 ; 何不 A 乎 ; 盍 A ; 盍 A 矣 ; 盍 A 諸 ; 盍 A 乎 ; 盍 A 乎來 ; 奚不 A ; 奚不 A 乎 ; 胡不 A ; |
|||
‘盍A’는 ‘何不A, 胡不A’와 같다. |
1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 ||
---|---|---|
1 | 君子之道四에 丘未能一焉이로니 所求乎子로 以事父를 未能也하며 所求乎臣으로 以事君을 未能也하며 所求乎弟로 以事兄을 未能也하며 所求乎朋友로 先施之를 未能也로니 庸德之行하며 庸言之謹하여 有所不足이어든 不敢不勉하며 有餘어든 不敢盡하여 言顧行하며 行顧言이니 君子胡不慥慥爾리오 <中庸, 中庸章句> | |
군자의 도 넷 중에 나(孔丘)는 그중에 하나도 잘하지 못한다. 자식에게 바라는 것으로 부모를 섬기는 것을 잘하지 못하며, 신하에게 바라는 것으로 임금을 섬기는 것을 잘하지 못하며, 아우에게 바라는 것으로 형 섬기는 것을 잘하지 못하며, 벗에게 바라는 것으로 먼저 베푸는 것을 잘하지 못하니, 평상의 덕을 행하며 평범한 말을 삼가서 부족한 점이 있거든 감히 힘쓰지 않음이 없으며, 넘치는 〈말이〉 있으면 감히 〈말을〉 다하지 않아서, 말은 행실을 돌아보며 행실은 말을 돌아보아야 하니, 군자가 어찌 독실하지 않겠는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