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의문/반어 > 부정/반어 A 어찌 A 하지 않는가/않겠는가?
대표 : 盍 A 乎
동의 : 曷不 A ; 豈非 A ; 那能不 A ; 孰不 A ; 何莫 A ; 何不 A ; 何不 A ; 何不 A ; A ; A ; A ; A ; A 乎來 ; 奚不 A ; 奚不 A ; 胡不 A ;
‘盍A’는 ‘何不A, 胡不A’와 같다.
6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1 顔淵季路侍러니 子曰 各言爾志 <漢文독해기본패턴, 문장유형별패턴1>  
안연과 자로[季路]가 〈공자를〉 모시는데, 공자가 말하였다. “어찌 각자 너희 뜻을 말하지 않는가?”
2 彼所啜 不濟我渴하고 彼所噉 不救我餒 努力自飮自食 <[新編]明心寶鑑, 韓國篇>  
저 사람이 마시는 것이 나의 갈증을 풀어주지 못하며, 저 사람이 먹는 것이 나의 굶주림을 구해주지 못한다. 어찌 스스로 마시며 스스로 먹으려고 노력하지 않는가.
3 劉曰 理無失金於人之鼎內하니 果天賜也 取之닛고 <明心寶鑑, 廉義篇>  
유 씨가 말하였다. “이치상 돈을 남의 솥 안에 잃을 리가 없으니, 참으로 하늘이 준 것입니다. 어찌 돈을 취하지 않습니까?”
4 顔淵季路侍러니 子曰 各言爾志 <四書독해첩경, 論語>  
안연(顔淵)과 자로(子路)가 〈공자를〉 모시는데, 공자가 말하였다. “어찌 각자 너희 뜻을 말하지 않는가?”
5 顔淵季路侍러니 子曰 各言爾志 <論語, 公冶長第五>  
안연(顔淵)과 자로(子路)가 〈공자를〉 모시는데, 공자가 말하였다. “어찌 각자 너희 뜻을 말하지 않는가?”
6 他日 謂時子曰 我欲中國而授孟子室하고 養弟子以萬鍾하여 使諸大夫國人으로 皆有所矜式하노니爲我言之 <孟子, 公孫丑下>  
다른 날에 왕이 시자(時子)에게 일러 말하였다. “내가 도성(都城)에 맹자에게 집을 내려주고 만 종의 〈녹(祿)〉으로 제자들을 길러 여러 대부와 나라 사람들로 하여금 모두 공경하고 본받을 사람이 있게 하려고 하니, 그대는 어찌 나를 대신하여 그 일을 말하지 않는가?”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