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딩중
의문/반어 > 부정/반어 何不 A 어찌 A 하지 않겠는가?
대표 : 盍 A 乎
동의 : 曷不 A ; 豈非 A ; 那能不 A ; 孰不 A ; 何莫 A ; 何不 A ; 何不 A ; 何不 A ; A ; A ; A ; A ; A 乎來 ; 奚不 A ; 奚不 A ; 胡不 A ;
‘盍A’는 ‘何不A, 胡不A’와 같다.
5 개의 글에 글자가 검색되었습니다.
1 不幸由己하니 自反이리오 <漢文독해기본패턴, 문장 유형별 패턴 1>  
불행은 자신에게서 말미암으니, 어찌 스스로 반성하지 않겠는가?
2 漁父曰 夫聖人 不凝滯於物하고 而能與世推移 擧世混濁이면 隨其流而揚其波하며 衆人皆醉 餔其糟而啜其醨 何故懷瑾握瑜하여 而自令見放爲오하다 <原文故事成語, 處世>  
어부가 말하길, “무릇 성인은 사물에 구애되지 않고, 세상과 더불어 옮겨갈 수 있습니다. 온 세상이 흐린데, 어찌 그 흐름을 따라서 그 물결을 일으키지 않으며, 뭇사람들이 다 취했는데, 어찌 그 술지게미를 먹고 그 맛없는 술을 마시지 않습니까? 무슨 까닭에 보물을 품고 보물을 쥐고서 스스로를 쫓기게 하였습니까?”
3 不忮不求 이리오 <論語, 子罕第九>  
〈《시경》 〈웅치(雄雉)〉에〉 ‘해치지 않고 탐내지 않는다면 무엇 때문에 선하지 않겠는가?’ 하였다.” 하니,
4 以粟易械器者 不爲厲陶冶 陶冶亦以其械器易粟者 豈爲厲農夫哉리오 且許子 爲陶冶하여 舍皆取諸其宮中而用之하고 何爲紛紛然與百工交易 何許子之不憚煩 曰 百工之事 固不可耕且爲也니라 <孟子, 滕文公上>  
“곡식으로 기구와 바꾸는 것이 도공과 대장장이를 해침이 되지 않으니, 도공과 대장장이 또한 그 기구로 곡식을 바꾸는 것이 어찌 농부를 해침이 되겠는가? 게다가 허자는 어찌 도공과 대장장이가 되어 다만 모두 자기 집 안에서 기구를 구해서 쓰지 않는가? 어찌하여 번거롭게 온갖 장인과 교역하는가? 어찌 허자는 번거로움을 꺼리지 않는가?” 〈진상이〉 말하였다. “백공의 일은 진실로 농사지으며 함께 하는 것이 불가한 것입니다.”
5 漁父曰 聖人 不凝滯於物하여 而能與世推移하나니 世人皆濁이어든 淈其泥而揚其波하며 衆人皆醉어든 餔其糟而歠其醨하고 何故深思高擧하여 自令放爲 <古文眞寶後集, 卷之一 >  
어부(漁父)가 말하였다. “성인은 사물에 얽매이지 않아서 세상과 함께 옮겨갈 수 있으니, 세상 사람이 모두 탁하거든 어찌 그 진흙을 휘저어 그 흙탕을 일으키지 않고, 많은 사람이 모두 취했거든 어찌 그 술지게미를 먹고 그 탁주를 마시지 않고, 무슨 까닭에 깊이 생각하고 고상하게 행동하여 스스로 쫓겨나게 되었오?”


Copyright @ (사)전통문화연구회, 동양고전정보화연구소 고전교육연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