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움말
동영상강좌
음성강좌
기타형식
MST -> VOD 변환강좌
신규강좌
모바일지원
고화질강좌
영상내자막

중복, 노후, 오류 등 이유로 2020년 6월 1일 이후 자료강좌실에서 서비스 예정.
《논어(論語)》는 공자의 언행 및 제자들과 문답한 내용을 제자 또는 재전(再傳) 제자들이 기록한 것으로 유학경전의 대표라 할 것이다.
《논어》는 노론(魯論), 제론(齊論), 고론(古論)이 있었으나 모두 일질(佚失)되었으며, 현재의 논어는 전한말기(前漢末期)에 장우(張禹)가 노론과 제론을 비교하여 20편으로 선정한 것이다.
* 본 강의는 강의 음성누락이 있으니 동영상 강의를 수강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본 강의는 실제강의 시간이 기록되지 않거나 적게 기록되어 있습니다.
| 0-1 강 | 序說 1 |
34분 23초 |
수강
-
|
| 0-2 강 | 序說 2 |
06분 46초 |
수강
-
|
| 0-3 강 | 序說 3 |
07분 38초 |
수강
-
|
| 0-4 강 | 序說 4 |
14분 45초 |
수강
-
|
| 0-5 강 | 序說 5 |
14분 14초 |
수강
-
|
| 0-6 강 | 序說 6 |
06분 31초 |
수강
-
|
| 0-7 강 | 序說 7 |
06분 50초 |
수강
-
|
| 1-1 강 | 學而 1 |
24분 57초 |
수강
-
|
| 1-2 강 | 學而 2 |
33분 31초 |
수강
-
|
| 1-3 강 | 學而 3 |
23분 26초 |
수강
-
|
| 1-4 강 | 學而 4 |
10분 11초 |
수강
-
|
| 1-5 강 | 學而 5 |
09분 25초 |
수강
-
|
| 1-6 강 | 學而 6 |
13분 43초 |
수강
-
|
| 1-7 강 | 學而 7 |
17분 43초 |
수강
-
|
| 1-8 강 | 學而 8 |
13분 01초 |
수강
-
|
| 1-9 강 | 學而 9 |
21분 41초 |
수강
-
|
| 1-10 강 | 學而 10 |
12분 07초 |
수강
-
|
| 1-11 강 | 學而 11 |
13분 00초 |
수강
-
|
| 1-12 강 | 學而 12 |
07분 19초 |
수강
-
|
| 1-13 강 | 學而 13 |
08분 20초 |
수강
-
|
| 1-14 강 | 學而 14 |
19분 52초 |
수강
-
|
| 1-15 강 | 學而 15 |
07분 11초 |
수강
-
|
| 1-16 강 | 學而 16 |
20분 41초 |
수강
-
|
| 1-17 강 | 學而 17 |
10분 49초 |
수강
-
|
| 1-18 강 | 學而 18 |
12분 10초 |
수강
-
|
| 1-19 강 | 學而 19 |
12분 56초 |
수강
-
|
| 1-20 강 | 學而 20 |
10분 16초 |
수강
-
|
| 1-21 강 | 學而 21 |
02분 51초 |
수강
-
|
| 1-22 강 | 學而 22 |
05분 08초 |
수강
-
|
| 1-23 강 | 學而 23 |
03분 42초 |
수강
-
|
| 1-24 강 | 學而 24 |
04분 16초 |
수강
-
|
| 1-25 강 | 學而 25 |
04분 44초 |
수강
-
|
| 1-26 강 | 學而 26 |
07분 19초 |
수강
-
|
| 1-27 강 | 學而 27 |
04분 16초 |
수강
-
|
| 1-28 강 | 學而 28 |
05분 40초 |
수강
-
|
| 1-29 강 | 學而 29 |
05분 38초 |
수강
-
|
| 1-30 강 | 學而 30 |
04분 31초 |
수강
-
|
| 1-31 강 | 學而 31 |
04분 42초 |
수강
-
|
| 1-32 강 | 學而 32 |
01분 44초 |
수강
-
|
| 2-1 강 | 爲政第二 : 1. 子曰 爲政以德이 |
06분 16초 |
수강
-
|
| 2-2 강 | 爲政第二 : 2. 子曰 詩三百을 |
10분 36초 |
수강
-
|
| 2-3 강 | 爲政第二 : 3. 子曰 道之以政하고 |
02분 51초 |
수강
-
|
| 2-4 강 | 爲政第二 : 道之以德하고 齊之以禮면 |
06분 30초 |
수강
-
|
| 2-5 강 | 爲政第二 : 4.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하고 |
05분 05초 |
수강
-
|
| 2-6 강 | 爲政第二 : 三十而立하고 |
00분 55초 |
수강
-
|
| 2-7 강 | 爲政第二 : 四十而不惑하고 |
01분 27초 |
수강
-
|
| 2-8 강 | 爲政第二 : 五十而知天命하고 |
02분 04초 |
수강
-
|
| 2-9 강 | 爲政第二 : 六十而耳順하고 |
01분 12초 |
수강
-
|
| 2-10 강 | 爲政第二 : 七十而從心所欲하되 不踰矩호라 |
129분 00초 |
수강
-
|
| 2-11 강 | 爲政第二 : 程子曰 孔子는 生而知者也로되 |
03분 36초 |
수강
-
|
| 2-12 강 | 爲政第二 : 胡氏曰 聖人之敎亦多術이라 |
08분 52초 |
수강
-
|
| 2-13 강 | (음성누락) 爲政第二 : 孟懿子問孝한대 |
00분 00초 |
수강
-
|
| 2-14 강 | (음성누락) 爲政第二 : 樊遲御러니 |
00분 00초 |
수강
-
|
| 2-15 강 | (음성누락) 爲政第二 : 樊遲曰 何謂也니잇고 |
00분 00초 |
수강
-
|
| 2-16 강 | (음성누락) 爲政第二 : 孟武伯問孝한대 |
00분 00초 |
수강
-
|
| 2-17 강 | (음성누락) 爲政第二 : 子游問孝한대 |
00분 00초 |
수강
-
|
| 2-18 강 | (음성누락) 爲政第二 : 子夏問孝한대 子曰 色難이니 |
00분 00초 |
수강
-
|
| 2-19 강 | (음성누락) 爲政第二 : 子曰 吾與回言終日에 |
00분 00초 |
수강
-
|
| 2-20 강 | (음성누락) 爲政第二 : 子曰 視其所以하며 |
00분 00초 |
수강
-
|
| 2-21 강 | (음성누락) 爲政第二 : 察其所安이면 |
00분 00초 |
수강
-
|
| 2-22 강 | (음성누락) 爲政第二 : 11. 子曰 溫故而知新이면 |
00분 00초 |
수강
-
|
| 2-23 강 | (음성누락) 爲政第二 : 12. 子曰 君子는 不器니라 |
00분 00초 |
수강
-
|
| 2-24 강 | 爲政第二 : 13. 子貢問君子한대 |
03분 39초 |
수강
-
|
| 2-25 강 | 爲政第二 : 14. 子曰 君子는 周而不比하고 |
06분 32초 |
수강
-
|
| 2-26 강 | 爲政第二 : 15. 子曰 學而不思則罔하고 |
13분 02초 |
수강
-
|
| 2-27 강 | 爲政第二 : 16. 子曰 攻乎異端이면 |
05분 55초 |
수강
-
|
| 2-28 강 | 爲政第二 : 17. 子曰 由아 誨女知之乎인저 |
06분 32초 |
수강
-
|
| 2-29 강 | 爲政第二 : 18. 子張學干祿한대 |
02분 37초 |
수강
-
|
| 2-30 강 | 爲政第二 : 子曰 多聞闕疑요 |
09분 07초 |
수강
-
|
| 2-31 강 | 爲政第二 : 19. 哀公問曰 何爲則民服이니잇고 |
06분 40초 |
수강
-
|
| 2-32 강 | 爲政第二 : 20. 季康子問 使民敬忠以勸호되 |
09분 16초 |
수강
-
|
| 2-33 강 | 爲政第二 : 21. 或謂孔子曰~ |
10분 13초 |
수강
-
|
| 2-34 강 | 爲政第二 : 22. 子曰 人而無信이면 |
09분 50초 |
수강
-
|
| 2-35 강 | 爲政第二 : 23. 子張問 十世可知也잇가 |
02분 44초 |
수강
-
|
| 2-36 강 | 爲政第二 : 子曰 殷因於夏禮하니 |
29분 36초 |
수강
-
|
| 2-37 강 | 爲政第二 : 胡氏曰 子張之問은 |
03분 26초 |
수강
-
|
| 2-38 강 | 爲政第二 : 24. 子曰 非其鬼而祭之 諂也요 |
02분 16초 |
수강
-
|
| 3-1 강 | 八佾 第三 : 1. 孔子謂季氏하시되~ |
08분 26초 |
수강
-
|
| 3-2 강 | 八佾 第三 : 范氏曰 樂舞之數는~ |
02분 26초 |
수강
-
|
| 3-3 강 | 八佾 第三 : 2. 三家者以雍徹이러니~ |
08분 54초 |
수강
-
|
| 3-4 강 | 八佾 第三 : 程子曰 周公之功이 固大矣나 |
04분 49초 |
수강
-
|
| 3-5 강 | 八佾 第三 : 3. 子曰 人而不仁이면 |
06분 19초 |
수강
-
|
| 3-6 강 | 八佾 第三 : 4. 林放이 問禮之本한대 |
38분 50초 |
수강
-
|
| 3-7 강 | 八佾 第三 : 7. 子曰 君子無所爭이나 |
10분 26초 |
수강
-
|
| 3-8 강 | 八佾 第三 : 8. 子夏問曰 巧笑 兮며 |
07분 22초 |
수강
-
|
| 3-9 강 | 八佾 第三 : 子曰 繪事後素니라 |
07분 12초 |
수강
-
|
| 3-10 강 | 八佾 第三 : 曰 禮後乎인저 |
14분 19초 |
수강
-
|
| 3-11 강 | 八佾 第三 : 9. 子曰 夏禮를 吾能言之나 |
07분 20초 |
수강
-
|
| 3-12 강 | 八佾 第三 : 10. 子曰 自旣灌而往者는 |
21분 39초 |
수강
-
|
| 3-13 강 | 八佾 第三 : 謝氏曰 夫子嘗曰我欲觀夏道하여 |
05분 07초 |
수강
-
|
| 3-14 강 | 八佾 第三 : 11. 或問 之說한대 |
09분 40초 |
수강
-
|
| 3-15 강 | 八佾 第三 : 12. 祭如在하시며 祭神如神在러시다 |
01분 37초 |
수강
-
|
| 3-16 강 | 八佾 第三 : 子曰 吾不與祭면 如不祭니라 |
06분 51초 |
수강
-
|
| 3-17 강 | 八佾 第三 : 13. 王孫賈問曰 |
06분 55초 |
수강
-
|
| 3-18 강 | 八佾 第三 : 子曰 不然하다 獲罪於天이면 |
03분 57초 |
수강
-
|
| 3-19 강 | 八佾 第三 : 14. 子曰 周監於二代하니 |
02분 18초 |
수강
-
|
| 3-20 강 | 八佾 第三 : 15. 子入大廟하사 每事問하신대 |
16분 37초 |
수강
-
|
| 3-21 강 | 八佾 第三 : 16. 子曰 射不主皮는 |
09분 41초 |
수강
-
|
| 3-22 강 | 八佾 第三 : 17. 子貢이 欲去告朔之 羊한대 |
04분 44초 |
수강
-
|
| 3-23 강 | 八佾 第三 : 子曰 賜也아 爾愛其羊가 |
04분 00초 |
수강
-
|
| 3-24 강 | 八佾 第三 : 18. 子曰 事君盡禮를 人以爲諂也로다 |
04분 03초 |
수강
-
|
| 3-25 강 | 八佾 第三 : 19. 定公問 君使臣하며 |
03분 27초 |
수강
-
|
| 3-26 강 | 八佾 第三 : 20. 子曰 關雎는 樂而不淫하고 |
13분 17초 |
수강
-
|
| 3-27 강 | 八佾 第三 : 21. 哀公이 問社於宰我한대 |
07분 27초 |
수강
-
|
| 3-28 강 | 八佾 第三 : 子聞之하시고 曰 成事라 |
04분 38초 |
수강
-
|
| 3-29 강 | 八佾 第三 : 22. 子曰 管仲之器小哉라 |
03분 25초 |
수강
-
|
| 3-30 강 | 八佾 第三 : 或曰 管仲은 儉乎잇가 |
03분 27초 |
수강
-
|
| 3-31 강 | 八佾 第三 : 然則管仲은 知禮乎잇가 |
07분 21초 |
수강
-
|
| 3-32 강 | 八佾 第三 : 愚謂孔子譏管仲之器小하시니 |
08분 26초 |
수강
-
|
| 3-33 강 | 八佾 第三 : 楊氏曰 夫子大管仲之功而小其器하시니 |
06분 23초 |
수강
-
|
| 3-34 강 | 八佾 第三 : 23. 子語魯大師樂曰 樂은 其可知也니 |
09분 27초 |
수강
-
|
| 3-35 강 | 八佾 第三 : 24. 儀封人이 請見(현)曰 |
06분 20초 |
수강
-
|
| 3-36 강 | 八佾 第三 : 木鐸은 金口木舌이니 |
03분 56초 |
수강
-
|
| 3-37 강 | 八佾 第三 : 25. 子謂韶하시되 盡美矣요 |
06분 09초 |
수강
-
|
| 3-38 강 | 八佾 第三 : 26. 子曰 居上不寬하며 |
02분 45초 |
수강
-
|
| 4-1 강 | 里仁第四 : 1. 子曰 里仁이 爲美하니 |
02분 23초 |
수강
-
|
| 4-2 강 | 里仁第四 : 2. 子曰 不仁者는 |
11분 53초 |
수강
-
|
| 4-3 강 | 里仁第四 : 謝氏曰 仁者는 |
09분 23초 |
수강
-
|
| 4-4 강 | 里仁第四 : 3. 子曰 惟仁者아 能好人하며 |
03분 52초 |
수강
-
|
| 4-5 강 | 里仁第四 : 4. 子曰 苟志於仁矣면 無惡也니라 |
01분 34초 |
수강
-
|
| 4-6 강 | 里仁第四 : 5. 子曰 富與貴是人之所欲也나 |
05분 03초 |
수강
-
|
| 4-7 강 | 里仁第四 : 君子去仁이면 惡(오)乎成名이리오 |
10분 09초 |
수강
-
|
| 4-8 강 | 里仁第四: 君子無終食之間違仁이니 |
12분 00초 |
수강
-
|
| 4-9 강 | 里仁第四:6. 子曰 我未見好仁者와 |
05분 53초 |
수강
-
|
| 4-10 강 | 里仁第四: 有能一日用其力於仁矣乎아 |
05분 54초 |
수강
-
|
| 4-11 강 | 里仁第四: 蓋有之矣어늘 我未之見也로다 |
07분 29초 |
수강
-
|
| 4-12 강 | 里仁第四: 7. 子曰 人之過也는 |
11분 18초 |
수강
-
|
| 4-13 강 | 里仁第四: 8. 子曰 朝聞道면 |
11분 39초 |
수강
-
|
| 4-14 강 | 里仁第四: 9. 子曰 士志於道而恥惡衣惡食者는 |
03분 13초 |
수강
-
|
| 4-15 강 | 里仁第四: 10. 子曰 君子之於天下也에 |
14분 32초 |
수강
-
|
| 4-16 강 | 里仁第四: 11. 子曰 君子는 懷德하고 |
04분 15초 |
수강
-
|
| 4-17 강 | 里仁第四: 12. 子曰 放於利而行이면 |
01분 27초 |
수강
-
|
| 4-18 강 | 里仁第四: 13. 子曰 能以禮讓이면 |
05분 18초 |
수강
-
|
| 4-19 강 | 里仁第四: 14. 子曰 不患無位요 |
04분 20초 |
수강
-
|
| 4-20 강 | 里仁第四: 15. 子曰 參乎아 吾道는 |
11분 45초 |
수강
-
|
| 4-21 강 | 里仁第四: 子出이어시늘 門人問曰 何謂也잇고 |
14분 35초 |
수강
-
|
| 4-22 강 | 里仁第四: 程子曰 以己及物은 仁也요 |
16분 30초 |
수강
-
|
| 4-23 강 | 里仁第四: 16. 子曰 君子는 喩於義하고 |
05분 50초 |
수강
-
|
| 4-24 강 | 里仁第四 : 17. 子曰 見賢思齊焉하며 |
03분 07초 |
수강
-
|
| 4-25 강 | 里仁第四 : 18. 子曰 事父母하되 幾諫이니 |
05분 05초 |
수강
-
|
| 4-26 강 | 里仁第四 : 19. 子曰 父母在어시든 |
06분 12초 |
수강
-
|
| 4-27 강 | 里仁第四 : 20. 子曰 三年을 無改於父之道라야 |
00분 34초 |
수강
-
|
| 4-28 강 | 里仁第四 : 21. 子曰 父母之年은 |
02분 23초 |
수강
-
|
| 4-29 강 | 里仁第四 : 22. 子曰 古者에 言之不出은 |
05분 31초 |
수강
-
|
| 4-30 강 | 里仁第四 : 23. 子曰 以約失之者鮮矣니라 |
01분 47초 |
수강
-
|
| 4-31 강 | 里仁第四 : 24. 子曰 君子는 欲訥於言而敏於行이니라 |
03분 27초 |
수강
-
|
| 4-32 강 | 里仁第四 : 25. 子曰 德不孤라 必有隣이니라 |
03분 27초 |
수강
-
|
| 4-33 강 | 里仁第四 : 26. 子游曰 事君數(삭)이면 斯辱矣요 |
04분 03초 |
수강
-
|
| 5-1 강 | 公冶長第五 : 1. 子謂公冶長하시되 |
06분 25초 |
수강
-
|
| 5-2 강 | 公冶長第五 : 子謂南容하시되 邦有道에 |
06분 54초 |
수강
-
|
| 5-3 강 | 公冶長第五 : 或曰 公冶長之賢이 |
04분 48초 |
수강
-
|
| 5-4 강 | 公冶長第五 : 2. 子謂子賤하사대 君子哉라 |
05분 18초 |
수강
-
|
| 5-5 강 | 公冶長第五 : 3. 子貢問曰 賜也는 何如하니잇고 |
05분 24초 |
수강
-
|
| 5-6 강 | 公冶長第五 : 4. 或曰 雍也는 仁而不 이로다 |
03분 32초 |
수강
-
|
| 5-7 강 | 公冶長第五 : 子曰 焉用 이리오 禦人以口給하여 |
09분 52초 |
수강
-
|
| 5-8 강 | 公冶長第五 : 5. 子使漆雕開仕하신대 |
03분 13초 |
수강
-
|
| 5-9 강 | 公冶長第五 : 程子曰 漆雕開已見大意라 |
04분 25초 |
수강
-
|
| 5-10 강 | 公冶長第五 : 6. 子曰 道不行이라 乘 하여 |
06분 51초 |
수강
-
|
| 5-11 강 | 公冶長第五 : 7. 孟武伯이 問 子路仁乎잇가 |
02분 19초 |
수강
-
|
| 5-12 강 | 公冶長第五 : 又問한대 子曰 由也는 |
02분 26초 |
수강
-
|
| 5-13 강 | 公冶長第五 : 求也는 何如하니잇고 |
01분 48초 |
수강
-
|
| 5-14 강 | 公冶長第五 : 赤也는 何如하니잇고 |
01분 13초 |
수강
-
|
| 5-15 강 | 公冶長第五 : 8. 子謂子貢曰 女與回也로 孰愈오 |
05분 32초 |
수강
-
|
| 5-16 강 | 公冶長第五 : 子曰 弗如也니라 |
06분 37초 |
수강
-
|
| 5-17 강 | 公冶長第五 : 9. 宰予晝寢이어늘 |
04분 33초 |
수강
-
|
| 5-18 강 | 公冶長第五 : 子曰 始吾於人也에 |
03분 41초 |
수강
-
|
| 5-19 강 | 公冶長第五 :范氏曰 君子之於學에 |
07분 27초 |
수강
-
|
| 5-20 강 | 公冶長第五 : 10. 子曰 吾未見剛者로라 |
07분 40초 |
수강
-
|
| 5-21 강 | 公冶長第五 : 11. 子貢曰 我不欲人之加諸我也를 |
10분 45초 |
수강
-
|
| 5-22 강 | 公冶長第五 : 12. 子貢曰 夫子之文章은 |
04분 20초 |
수강
-
|
| 5-23 강 | 公冶長第五 : 13. 子路는 有聞이요 未之能行하여선 |
11분 52초 |
수강
-
|
| 5-24 강 | 公冶長第五 : 14. 子貢問曰 孔文子를(녹음안됨) |
00분 00초 |
수강
-
|
| 5-25 강 | 公冶長第五 : 15. 子謂子産하시되(녹음안됨) |
00분 00초 |
수강
-
|
| 5-26 강 | 公冶長第五 : 16. 子曰 晏平仲은 |
02분 12초 |
수강
-
|
| 5-27 강 | 公冶長第五 : 17. 子曰 臧文仲이 居蔡하되 |
10분 29초 |
수강
-
|
| 5-28 강 | 公冶長第五 : 18. 子張問曰 令尹子文이 |
19분 38초 |
수강
-
|
| 5-29 강 | 公冶長第五 : 崔子弑齊君이어늘 |
13분 30초 |
수강
-
|
| 5-30 강 | 公冶長第五 : 19. 季文子三思而後行하더니 |
09분 52초 |
수강
-
|
| 5-31 강 | 公冶長第五 : 20. 子曰 武子邦有道則知하고 |
11분 36초 |
수강
-
|
| 5-32 강 | 公冶長第五 : 21. 子在陳하사 曰 歸與歸與인저 |
08분 30초 |
수강
-
|
| 5-33 강 | 公冶長第五 : 22. 子曰 伯夷叔齊는 |
07분 15초 |
수강
-
|
| 5-34 강 | 公冶長第五 : 23. 子曰 孰謂微生高直고 |
07분 18초 |
수강
-
|
| 5-35 강 | 公冶長第五 : 24. 子曰 巧言令色足(주)恭을 |
07분 49초 |
수강
-
|
| 5-36 강 | 公冶長第五 : 25. 顔淵季路侍러니 |
01분 53초 |
수강
-
|
| 5-37 강 | 公冶長第五 : 子路曰 願車馬衣輕 를 |
04분 53초 |
수강
-
|
| 5-38 강 | 公冶長第五 : 子路曰 願聞子之志하노이다 |
18분 59초 |
수강
-
|
| 5-39 강 | 公冶長第五 : 26. 子曰 已矣乎라 |
04분 38초 |
수강
-
|
| 5-40 강 | 公冶長第五 : 27. 子曰 十室之邑에 |
07분 52초 |
수강
-
|
| 6-1 강 | 雍也 第六 : 1. 子曰 雍也는 可使南面이로다 |
04분 24초 |
수강
-
|
| 6-2 강 | 雍也 第六 : 仲弓이 問子桑伯子한대 |
03분 02초 |
수강
-
|
| 6-3 강 | 雍也 第六 : 仲弓曰 居敬而行簡하여 |
08분 19초 |
수강
-
|
| 6-4 강 | 雍也 第六 : 子曰 雍之言이 然하다 |
05분 13초 |
수강
-
|
| 6-5 강 | 雍也 第六 : 2. 哀公이 問 弟子孰爲好學이니잇고 |
04분 20초 |
수강
-
|
| 6-6 강 | 雍也 第六 : 程子曰 顔子之怒는 |
07분 39초 |
수강
-
|
| 6-7 강 | 雍也 第六 : 或曰 詩書六藝를 |
14분 11초 |
수강
-
|
| 6-8 강 | 雍也 第六 : 3. 子華使(시)於齊러니 |
04분 59초 |
수강
-
|
| 6-9 강 | 雍也 第六 : 子曰 赤之適齊也에 |
01분 34초 |
수강
-
|
| 6-10 강 | 雍也 第六 : 原思爲之宰러니 |
06분 08초 |
수강
-
|
| 6-11 강 | 雍也 第六 : 子曰 毋하여 以與爾隣里鄕黨乎인저 |
02분 13초 |
수강
-
|
| 6-12 강 | 雍也 第六 : 程子曰 夫子之使子華와 |
06분 08초 |
수강
-
|
| 6-13 강 | 雍也 第六 : 4. 子謂仲弓曰 犁牛之子 騂且角이면 |
01분 50초 |
수강
-
|
| 6-14 강 | 雍也 第六 : 犁는 雜文이오 騂은 赤色이니 |
05분 12초 |
수강
-
|
| 6-15 강 | 雍也 第六 : 范氏曰 以瞽瞍爲父而有舜하고 |
00분 36초 |
수강
-
|
| 6-16 강 | 雍也 第六 : 5. 子曰 回也는 其心三月不違仁이오 |
10분 54초 |
수강
-
|
| 6-17 강 | 雍也 第六 : 6. 季康子問 仲由可使從政也與잇가 |
03분 59초 |
수강
-
|
| 6-18 강 | 雍也 第六 : 7. 季氏使閔子騫으로 爲費宰한대 |
04분 07초 |
수강
-
|
| 6-19 강 | 雍也 第六 : 程子曰 仲尼之門에 |
09분 14초 |
수강
-
|
| 6-20 강 | 雍也 第六 : 8. 伯牛有疾이어늘 子問之하실새 |
11분 14초 |
수강
-
|
| 6-21 강 | 雍也 第六 : 9. 子曰 賢哉라 回也여 |
02분 30초 |
수강
-
|
| 6-22 강 | 雍也 第六 : 程子曰 顔子之樂은 |
11분 19초 |
수강
-
|
| 6-23 강 | 雍也 第六 : 10. 冉求曰 非不說子之道언마는 |
04분 13초 |
수강
-
|
| 6-24 강 | 雍也 第六 : 11. 子謂子夏曰 女爲君子儒요 |
03분 26초 |
수강
-
|
| 6-25 강 | 雍也 第六 : 12. 子游爲武城宰러니 |
03분 50초 |
수강
-
|
| 6-25 강 | 雍也 第六 : 楊氏曰 爲政은 以人才爲先이라 |
04분 02초 |
수강
-
|
| 6-27 강 | 雍也 第六 : 13. 子曰 孟之反은 不伐이로다 |
11분 44초 |
수강
-
|
| 6-28 강 | 雍也 第六 : 14. 子曰 不有祝鮀之佞이며 |
17분 07초 |
수강
-
|
| 6-29 강 | 雍也 第六 : 15. 子曰 誰能出不由戶리오마는 |
04분 18초 |
수강
-
|
| 6-30 강 | 雍也 第六 : 16. 子曰 質勝文則野요 |
09분 31초 |
수강
-
|
| 6-31 강 | 雍也 第六 : 17. 子曰 人之生也直하니 |
05분 36초 |
수강
-
|
| 6-32 강 | 雍也 第六 : 18. 子曰 知之者不如好之者요 |
07분 14초 |
수강
-
|
| 6-33 강 | 雍也 第六 : 19. 子曰 中人以上은 可以語上也어니와 |
09분 36초 |
수강
-
|
| 6-34 강 | 雍也 第六 : 20. 樊遲問知한대 |
07분 03초 |
수강
-
|
| 6-35 강 | 雍也 第六 : 21. 子曰 知者는 樂(요)水하고 |
07분 43초 |
수강
-
|
| 6-36 강 | 雍也 第六 : 22. 子曰 齊一變이면 至於魯하고 |
05분 43초 |
수강
-
|
| 6-37 강 | 雍也 第六 : 程子曰 夫子之時에 |
04분 37초 |
수강
-
|
| 6-38 강 | 雍也 第六 : 23. 子曰觚不觚觚哉觚哉 |
06분 58초 |
수강
-
|
| 6-39 강 | 雍也 第六 : 24. 宰我問曰 仁者는 |
09분 04초 |
수강
-
|
| 6-40 강 | 雍也 第六 : 25. 子曰 君子博學於文이요 |
06분 47초 |
수강
-
|
| 6-41 강 | 雍也 第六 : 26. 子見南子하신대 子路不說이어늘 |
06분 46초 |
수강
-
|
| 6-42 강 | 雍也 第六 : 27. 子曰 中庸之爲德也 |
03분 16초 |
수강
-
|
| 6-43 강 | 雍也 第六 : 28. 子貢曰 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이면 |
06분 32초 |
수강
-
|
| 6-44 강 | 雍也 第六 : 28. 子貢曰 如有博施於民而能濟衆이면 |
01분 59초 |
수강
-
|
| 6-45 강 | 雍也 第六 : 能近取譬면 可謂仁之方也已니라 |
03분 41초 |
수강
-
|
| 6-46 강 | 雍也 第六 : 程子曰 醫書에 |
06분 28초 |
수강
-
|
| 6-47 강 | 雍也 第六 : 又曰 論語에 言堯舜其猶病諸者二니 |
08분 52초 |
수강
-
|
| 7-1 강 | 述而 第七 : 此篇은 多記聖人謙己誨人之辭와 |
01분 21초 |
수강
-
|
| 7-2 강 | 述而 第七 : 1. 子曰 述而不作하며 |
13분 39초 |
수강
-
|
| 7-3 강 | 述而 第七 : 2. 子曰 默而識之하며 |
02분 49초 |
수강
-
|
| 7-4 강 | 述而 第七 : 3. 子曰 德之不修와 |
01분 59초 |
수강
-
|
| 7-5 강 | 述而 第七 : 4. 子之燕居에 |
05분 18초 |
수강
-
|
| 7-6 강 | 述而 第七 : 5. 子曰 甚矣라 吾衰也여 |
06분 56초 |
수강
-
|
| 7-7 강 | 述而 第七 : 6. 子曰 志於道하며 |
02분 50초 |
수강
-
|
| 7-8 강 | 述而 第七 : 據於德하며 |
05분 08초 |
수강
-
|
| 7-9 강 | 述而 第七 : 依於仁하며 |
01분 55초 |
수강
-
|
| 7-10 강 | 述而 第七 : 游於藝니라 |
02분 08초 |
수강
-
|
| 7-11 강 | 述而 第七 : 此章은 言人之爲學이 |
06분 17초 |
수강
-
|
| 7-12 강 | 述而 第七 : 7. 子曰 自行束脩以上은 |
04분 30초 |
수강
-
|
| 7-13 강 | 述而 第七 : 8. 子曰 不憤이어든 不啓하며 |
07분 30초 |
수강
-
|
| 7-14 강 | 述而 第七 : 程子曰 憤悱는 |
00분 57초 |
수강
-
|
| 7-15 강 | 述而 第七 : 9. 子食於有喪者之側에 |
02분 12초 |
수강
-
|
| 7-16 강 | 述而 第七 : 10. 子謂顔淵曰 用之則行하고 |
01분 50초 |
수강
-
|
| 7-17 강 | 述而 第七 : 子路曰 子行三軍이면 |
03분 24초 |
수강
-
|
| 7-18 강 | 述而 第七 : 子曰 暴虎馮河하여 |
11분 13초 |
수강
-
|
| 7-19 강 | 述而 第七 : 11. 子曰 富而可求也인댄 |
05분 05초 |
수강
-
|
| 7-20 강 | 述而 第七 : 12. 子之所愼은 齊戰疾이러시다 |
08분 24초 |
수강
-
|
| 7-20 강 | 陽貨 第十七 : 多識於鳥獸草木之名이니라 |
03분 40초 |
수강
-
|
| 7-21 강 | 述而 第七 : 13. 子在齊聞韶하시고 |
04분 22초 |
수강
-
|
| 7-22 강 | 述而 第七 : 14. 冉有曰 夫子爲衛君乎아 |
04분 02초 |
수강
-
|
| 7-23 강 | 述而 第七 : 入하여 曰 伯夷叔齊는 |
04분 16초 |
수강
-
|
| 7-24 강 | 述而 第七 : 君子居是邦에 |
07분 11초 |
수강
-
|
| 7-25 강 | 述而 第七 : 15. 子曰 飯疏食飮水하고 |
05분 07초 |
수강
-
|
| 7-26 강 | 述而 第七 : 16. 子曰 加[假]我數年하여 |
07분 03초 |
수강
-
|
| 7-27 강 | 述而 第七 : 17. 子所雅言은 詩書執禮니 |
04분 42초 |
수강
-
|
| 7-28 강 | 述而 第七 : 18. 葉公이 問孔子於子路어늘 |
03분 57초 |
수강
-
|
| 7-29 강 | 述而 第七 : 子曰 女奚不曰 |
07분 02초 |
수강
-
|
| 7-30 강 | 述而 第七 : 19. 子曰 我非生而知之者라 |
07분 13초 |
수강
-
|
| 7-31 강 | 述而 第七 : 20. 子不語怪力亂神이러시다 |
03분 59초 |
수강
-
|
| 7-32 강 | 述而 第七 : 21. 子曰 三人行에 |
04분 08초 |
수강
-
|
| 7-33 강 | 述而 第七 : 22. 子曰 天生德於予시니 |
06분 09초 |
수강
-
|
| 7-34 강 | 述而 第七 : 23. 子曰 二三子는 |
12분 17초 |
수강
-
|
| 7-35 강 | 述而 第七 : 24. 子以四敎하시니 文行忠信이러시다 |
00분 54초 |
수강
-
|
| 7-36 강 | 述而 第七 : 25. 子曰 聖人을 吾不得而見之矣어든 |
01분 13초 |
수강
-
|
| 7-37 강 | 述而 第七 : 子曰 善人을 吾不得而見之矣어든 |
01분 25초 |
수강
-
|
| 7-38 강 | 述而 第七 : 亡(無)而爲有하며 虛而爲盈하며 |
05분 28초 |
수강
-
|
| 7-39 강 | 述而 第七 : 26. 子는 釣而不網하시며 |
05분 40초 |
수강
-
|
| 7-40 강 | 述而 第七 : 27. 子曰 蓋有不知而作之者아 |
05분 43초 |
수강
-
|
| 7-41 강 | 述而 第七 : 28. 互鄕은 難與言이러니 |
01분 38초 |
수강
-
|
| 7-42 강 | 述而 第七 : 子曰 與其進也요 |
07분 19초 |
수강
-
|
| 7-43 강 | 述而 第七 : 29. 子曰 仁遠乎哉아 |
01분 53초 |
수강
-
|
| 7-44 강 | 述而 第七 : 30. 陳司敗問 昭公知禮乎잇가 |
02분 39초 |
수강
-
|
| 7-45 강 | 述而 第七 : 孔子退어시늘 |
10분 36초 |
수강
-
|
| 7-46 강 | 述而 第七 : 巫馬期以告한대 |
04분 21초 |
수강
-
|
| 7-47 강 | 述而 第七 : 31. 子與人歌而善이어든 |
04분 24초 |
수강
-
|
| 7-48 강 | 述而 第七 : 32. 子曰 文莫吾猶人也아 |
05분 32초 |
수강
-
|
| 7-49 강 | 述而 第七 : 33. 子曰 若聖與仁은 |
06분 21초 |
수강
-
|
| 7-50 강 | 述而 第七 : 34. 子疾病이어시늘 子路請禱한대 |
07분 57초 |
수강
-
|
| 7-51 강 | 述而 第七 : 35. 子曰 奢則不孫하고 |
02분 41초 |
수강
-
|
| 7-52 강 | 述而 第七 : 36. 子曰 君子는 |
02분 29초 |
수강
-
|
| 7-53 강 | 述而 第七 : 37. 子는 溫而 하시며 |
06분 38초 |
수강
-
|
| 8-1 강 | 泰伯 第八 : 1. 子曰 泰伯은 |
07분 23초 |
수강
-
|
| 8-2 강 | 泰伯 第八 : 蓋大王三子에 |
06분 06초 |
수강
-
|
| 8-3 강 | 泰伯 第八 : 夫以泰伯之德으로 |
00분 58초 |
수강
-
|
| 8-4 강 | 泰伯 第八 : 2. 子曰 恭而無禮則勞하고 |
05분 54초 |
수강
-
|
| 8-5 강 | 泰伯 第八 : 君子篤於親이면 |
03분 41초 |
수강
-
|
| 8-6 강 | 泰伯 第八 : 3. 曾子有疾하사 |
08분 05초 |
수강
-
|
| 8-7 강 | 泰伯 第八 : 程子曰 君子曰終이요 |
00분 55초 |
수강
-
|
| 8-8 강 | 泰伯 第八 : 4. 曾子有疾이어시늘 |
03분 41초 |
수강
-
|
| 8-9 강 | 泰伯 第八 : 君子所貴乎道者三이니 |
05분 18초 |
수강
-
|
| 8-10 강 | 泰伯 第八 : 言道雖無所不在나 |
06분 33초 |
수강
-
|
| 8-11 강 | 泰伯 第八 : 程子曰 動容貌는 |
04분 20초 |
수강
-
|
| 8-12 강 | 泰伯 第八 : 5. 曾子曰 以能問於不能하며 |
07분 36초 |
수강
-
|
| 8-13 강 | 泰伯 第八 : 6. 曾子曰 可以託六尺之孤하며 |
04분 27초 |
수강
-
|
| 8-14 강 | 泰伯 第八 : 7. 曾子曰 士不可以不弘毅니 |
04분 41초 |
수강
-
|
| 8-15 강 | 泰伯 第八 : 仁以爲己任이니 |
05분 03초 |
수강
-
|
| 8-16 강 | 泰伯 第八 : 8. 子曰 興於詩하며 |
03분 26초 |
수강
-
|
| 8-17 강 | 泰伯 第八 : 立於禮하며 |
05분 58초 |
수강
-
|
| 8-18 강 | 泰伯 第八 : 成於樂이니라 |
03분 53초 |
수강
-
|
| 8-19 강 | 泰伯 第八 : 按內則컨대 十歲에 |
04분 50초 |
수강
-
|
| 8-20 강 | 泰伯 第八 : 古人은 自灑掃應對로 |
04분 10초 |
수강
-
|
| 8-21 강 | 泰伯 第八 : 9. 子曰 民은 可使由之요 |
05분 11초 |
수강
-
|
| 8-22 강 | 泰伯 第八 : 10. 子曰 好勇疾貧이 亂也요 |
02분 26초 |
수강
-
|
| 8-23 강 | 泰伯 第八 : 11. 子曰 如有周公之才之美라도 |
07분 35초 |
수강
-
|
| 8-24 강 | 泰伯 第八 : 12. 子曰 三年學에 |
02분 29초 |
수강
-
|
| 8-25 강 | 泰伯 第八 : 13. 子曰 篤信好學하며 |
04분 03초 |
수강
-
|
| 8-26 강 | 泰伯 第八 : 危邦不入하고 亂邦不居하며 |
03분 33초 |
수강
-
|
| 8-27 강 | 泰伯 第八 : 邦有道에 貧且賤焉이 |
09분 11초 |
수강
-
|
| 8-28 강 | 泰伯 第八 : 14. 子曰 不在其位하여는(녹음안됨) |
01분 13초 |
수강
-
|
| 8-29 강 | 泰伯 第八 : 15. 子曰 師摯之始에 |
03분 00초 |
수강
-
|
| 8-30 강 | 泰伯 第八 : 16. 子曰 狂而不直하며 |
06분 50초 |
수강
-
|
| 8-31 강 | 泰伯 第八 : 17. 子曰 學如不及이요 |
03분 57초 |
수강
-
|
| 8-32 강 | 泰伯 第八 : 18. 子曰 巍巍乎라 |
03분 20초 |
수강
-
|
| 8-33 강 | 泰伯 第八 : 19. 子曰 大哉라 |
03분 32초 |
수강
-
|
| 8-34 강 | 泰伯 第八 : 巍巍乎其有成功也여 |
03분 29초 |
수강
-
|
| 8-35 강 | 泰伯 第八 : 巍巍乎其有成功也여 |
00분 35초 |
수강
-
|
| 8-36 강 | 泰伯 第八 : 武王曰 予有亂臣十人호라 |
08분 07초 |
수강
-
|
| 8-37 강 | 泰伯 第八 : 孔子曰 才亂이 |
05분 22초 |
수강
-
|
| 8-38 강 | 泰伯 第八 : 三分天下에 有其二하사 |
07분 44초 |
수강
-
|
| 8-39 강 | 泰伯 第八 : 21. 子曰 禹는 吾無間然矣로다 |
06분 14초 |
수강
-
|
| 8-40 강 | 泰伯 第八 : 楊氏曰 薄於自奉하되 |
02분 12초 |
수강
-
|
| 9-1 강 | 子罕 第九 : 1. 子는 罕言利與命與仁이러시다(녹음안됨) |
02분 04초 |
수강
-
|
| 9-2 강 | 子罕 第九 : 2. 達巷黨人曰 大哉라(녹음안됨) |
02분 39초 |
수강
-
|
| 9-3 강 | 子罕 第九 : 子聞之하시고 謂門弟子曰 |
11분 00초 |
수강
-
|
| 9-4 강 | 子罕 第九 : 尹氏曰 聖人은 |
02분 25초 |
수강
-
|
| 9-5 강 | 子罕 第九 : 3. 子曰 麻冕이 禮也어늘 |
15분 22초 |
수강
-
|
| 9-6 강 | 子罕 第九 : 拜下禮也어늘 今拜乎上하니 |
02분 13초 |
수강
-
|
| 9-7 강 | 子罕 第九 : 4. 子絶四러시니 毋意 |
05분 53초 |
수강
-
|
| 9-8 강 | 子罕 第九 : 程子曰 此毋字는 |
03분 32초 |
수강
-
|
| 9-9 강 | 子罕 第九 : 5. 子畏於匡이러시니 |
01분 09초 |
수강
-
|
| 9-10 강 | 子罕 第九 : 曰 文王旣沒하시니 |
02분 16초 |
수강
-
|
| 9-11 강 | 子罕 第九 : 天之將喪斯文也신댄 |
05분 34초 |
수강
-
|
| 9-12 강 | 子罕 第九 : 6. 大宰問於子貢曰 |
03분 12초 |
수강
-
|
| 9-13 강 | 子罕 第九 : 子貢曰 固天縱之將聖이시고 |
02분 18초 |
수강
-
|
| 9-14 강 | 子罕 第九 : 子聞之하시고 曰 大宰知我乎인저 |
05분 03초 |
수강
-
|
| 9-15 강 | 子罕 第九 : 牢曰 子云 吾不試라 |
03분 21초 |
수강
-
|
| 9-16 강 | 子罕 第九 : 7. 子曰 吾有知乎哉아 |
03분 15초 |
수강
-
|
| 9-17 강 | 子罕 第九 : 程子曰 聖人之敎人에 |
06분 16초 |
수강
-
|
| 9-18 강 | 子罕 第九 : 8. 子曰 鳳鳥不至하며 |
03분 12초 |
수강
-
|
| 9-19 강 | 子罕 第九 : 9. 子見齊衰者와 |
31분 24초 |
수강
-
|
| 9-20 강 | 子罕 第九 : 10. 顔淵이 喟然歎曰 |
06분 59초 |
수강
-
|
| 9-21 강 | 子罕 第九 : 夫子循循然善誘人하사 |
06분 44초 |
수강
-
|
| 9-22 강 | 子罕 第九 : 欲罷不能하여 旣競吾才하니 |
12분 03초 |
수강
-
|
| 9-23 강 | 子罕 第九 : 程子曰 此는 |
09분 26초 |
수강
-
|
| 9-24 강 | 子罕 第九 : 11. 子疾病이어시늘 |
02분 30초 |
수강
-
|
| 9-25 강 | 子罕 第九 : 病間曰 久矣哉라 |
04분 06초 |
수강
-
|
| 9-26 강 | 子罕 第九 : 且予與其死 |
07분 24초 |
수강
-
|
| 9-27 강 | 子罕 第九 : 范氏曰 曾子將死에 |
04분 19초 |
수강
-
|
| 9-28 강 | 子罕 第九 : 12. 子貢曰 有美玉於斯하니 |
04분 10초 |
수강
-
|
| 9-29 강 | 子罕 第九 : 范氏曰 |
02분 39초 |
수강
-
|
| 9-30 강 | 子罕 第九 : 13. 子欲居九夷 |
03분 21초 |
수강
-
|
| 9-31 강 | 子罕 第九 : 14. 子曰 吾自衛反魯 |
04분 03초 |
수강
-
|
| 9-32 강 | 子罕 第九 : 15. 子曰 出則事公卿하고 |
04분 37초 |
수강
-
|
| 9-33 강 | 子罕 第九 : 16. 子在川上曰 |
03분 08초 |
수강
-
|
| 9-34 강 | 子罕 第九 : 程子曰 此道體也니 |
07분 04초 |
수강
-
|
| 9-35 강 | 子罕 第九 : 17. 子曰 吾未見好德如好色者也로라 |
08분 49초 |
수강
-
|
| 9-36 강 | 子罕 第九 : 18. 子曰 譬如爲山에 |
05분 39초 |
수강
-
|
| 9-37 강 | 子罕 第九 : 19. 子曰 語之而不惰者는 |
02분 22초 |
수강
-
|
| 9-38 강 | 子罕 第九 : 20. 子謂顔淵曰 惜乎라 |
01분 14초 |
수강
-
|
| 9-39 강 | 子罕 第九 : 21. 子曰 苗而不秀者有矣夫며 |
26분 50초 |
수강
-
|
| 9-40 강 | 子罕 第九 : 22. 子曰 後生可畏니 |
08분 32초 |
수강
-
|
| 9-41 강 | 子罕 第九 : 23. 子曰 法語之言은 |
03분 39초 |
수강
-
|
| 9-42 강 | 子罕 第九 : 楊氏曰 法言은 |
02분 59초 |
수강
-
|
| 9-43 강 | 子罕 第九 : 24. 子曰 主忠信하며 |
00분 27초 |
수강
-
|
| 9-44 강 | 子罕 第九 : 25. 子曰 三軍은 可奪帥也어니와 |
01분 30초 |
수강
-
|
| 9-45 강 | 子罕 第九 : 26. 子曰 衣 縕袍하여 |
03분 51초 |
수강
-
|
| 9-46 강 | 子罕 第九 : 不 不求면 何用不臧이리오 |
02분 50초 |
수강
-
|
| 9-47 강 | 子罕 第九 : 子路終身誦之한대 |
03분 27초 |
수강
-
|
| 9-48 강 | 子罕 第九 : 27. 子曰 歲寒然後에 |
02분 35초 |
수강
-
|
| 9-49 강 | 子罕 第九 : 28. 子曰 知者不惑하고 |
02분 08초 |
수강
-
|
| 9-50 강 | 子罕 第九 : 29. 子曰 可與共學이라도 |
05분 36초 |
수강
-
|
| 9-51 강 | 子罕 第九 : 楊氏曰 知爲己면 |
03분 51초 |
수강
-
|
| 9-52 강 | 子罕 第九 : 程子曰 漢儒以反經合道爲權이라 |
04분 49초 |
수강
-
|
| 9-53 강 | 子罕 第九 : 30. 唐 之華여 偏其反而로다 |
06분 39초 |
수강
-
|
| 9-54 강 | 子罕 第九 : 子曰 未之思也언정 |
03분 37초 |
수강
-
|
| 10-1 강 | 鄕黨 第十 : 楊氏曰 聖人之所謂道者는 |
05분 28초 |
수강
-
|
| 10-2 강 | 鄕黨 第十 : 1. 孔子於鄕黨에 |
03분 25초 |
수강
-
|
| 10-3 강 | 鄕黨 第十 : 其在宗廟朝廷하사는 |
02분 59초 |
수강
-
|
| 10-4 강 | 鄕黨 第十 : 2. 朝에 與下大夫言에 |
03분 04초 |
수강
-
|
| 10-5 강 | 鄕黨 第十 : 君在어시든 如也하시며 |
04분 38초 |
수강
-
|
| 10-6 강 | 鄕黨 第十 : 3. 君召使 이어시든 |
03분 17초 |
수강
-
|
| 10-7 강 | 鄕黨 第十 : 揖所與立하사대 左右手러시니 hdang07 |
03분 48초 |
수강
-
|
| 10-8 강 | 鄕黨 第十 : 趨進에 翼如也러시다 |
03분 29초 |
수강
-
|
| 10-9 강 | 鄕黨 第十 : 4. 入公門하실새 鞠躬如也하사 |
02분 19초 |
수강
-
|
| 10-10 강 | 鄕黨 第十 : 立不中門하시며 行不履 이러시다 |
04분 17초 |
수강
-
|
| 10-11 강 | 鄕黨 第十 : 過位하실새 色勃如也하시며 |
05분 09초 |
수강
-
|
| 10-12 강 | 鄕黨 第十 : 攝齊升堂하실새 鞠躬如也하시며 |
05분 17초 |
수강
-
|
| 10-13 강 | 鄕黨 第十 : 出降一等하사는 逞顔色하사 |
04분 22초 |
수강
-
|
| 10-14 강 | 鄕黨 第十 : 5. 執圭하사대 鞠躬如也하사 |
07분 46초 |
수강
-
|
| 10-15 강 | 鄕黨 第十 : 享禮에 有容色하시며 |
02분 50초 |
수강
-
|
| 10-16 강 | 鄕黨 第十 : 私 에 愉愉如也러시다 |
05분 43초 |
수강
-
|
| 10-17 강 | 鄕黨 第十 : 6. 君子는 不以紺 飾하시며 |
04분 47초 |
수강
-
|
| 10-18 강 | 鄕黨 第十 : 當署하사 袗 을 |
03분 24초 |
수강
-
|
| 10-19 강 | 鄕黨 第十 : 緇衣엔 羔 요 素衣엔 |
06분 35초 |
수강
-
|
| 10-20 강 | 鄕黨 第十 : 褻 長하되 短右袂러시다 |
05분 47초 |
수강
-
|
| 10-21 강 | 鄕黨 第十 : 狐 之厚로 以居러시다 |
02분 19초 |
수강
-
|
| 10-22 강 | 鄕黨 第十 : 非 裳이어든 必殺之러시다 |
04분 07초 |
수강
-
|
| 10-23 강 | 鄕黨 第十 : 羔 玄冠으로 不以弔러시다 |
03분 35초 |
수강
-
|
| 10-24 강 | 鄕黨 第十 : 7. 齊必有明衣러시니 布러라 |
01분 21초 |
수강
-
|
| 10-25 강 | 鄕黨 第十 : 齊必變食하시며 居必遷坐러시다 |
02분 05초 |
수강
-
|
| 10-26 강 | 鄕黨 第十 : 8. 食不厭精하시며 膾不厭細러시다 |
03분 26초 |
수강
-
|
| 10-27 강 | 鄕黨 第十 : 食饐而餲와 魚餒而肉敗를 |
03분 47초 |
수강
-
|
| 10-28 강 | 鄕黨 第十 : 割不正이어든 不食하시며 |
03분 56초 |
수강
-
|
| 10-29 강 | 鄕黨 第十 : 肉雖多나 不使勝食氣하시며 |
03분 24초 |
수강
-
|
| 10-30 강 | 鄕黨 第十 : 沽酒市脯를 不食하시며 |
10분 12초 |
수강
-
|
| 10-31 강 | 鄕黨 第十 : 祭於公에 不宿肉하시며 |
07분 53초 |
수강
-
|
| 10-32 강 | 鄕黨 第十 : 食不語하시며 寢不言이러시다 |
03분 58초 |
수강
-
|
| 10-33 강 | 鄕黨 第十 : 雖疏食菜羹이라도 |
05분 47초 |
수강
-
|
| 10-34 강 | 鄕黨 第十 : 9. 席不正이어든 不坐러시다 |
15분 14초 |
수강
-
|
| 10-35 강 | 鄕黨 第十 : 10. 鄕人飮酒에 |
02분 08초 |
수강
-
|
| 10-36 강 | 鄕黨 第十 : 鄕人儺에 朝服而立於 階러시다 |
04분 46초 |
수강
-
|
| 10-37 강 | 鄕黨 第十 : 11. 問人於他邦하실새 (오류확인중) |
00분 00초 |
수강
-
|
| 10-38 강 | 鄕黨 第十 : 12. 廐焚이어늘(오류확인중) |
00분 00초 |
수강
-
|
| 10-39 강 | 鄕黨 第十 : 13. 君賜食이어시든(오류확인중) |
00분 00초 |
수강
-
|
| 10-40 강 | 鄕黨 第十 : 侍食於君에 |
07분 03초 |
수강
-
|
| 10-41 강 | 鄕黨 第十 : 君命召어시든 不俟駕行矣러시다 |
02분 00초 |
수강
-
|
| 10-42 강 | 鄕黨 第十 : 14. 朋友死하여 無所歸어든 曰於我殯이라하시다 |
07분 26초 |
수강
-
|
| 10-43 강 | 鄕黨 第十 : 15. 寢不尸하시며 居不容이러시다 |
04분 42초 |
수강
-
|
| 10-44 강 | 鄕黨 第十 : 見齊衰者하시고 |
01분 59초 |
수강
-
|
| 10-45 강 | 鄕黨 第十 : 凶服者를 式之하시며 |
07분 21초 |
수강
-
|
| 10-46 강 | 鄕黨 第十 : 有盛饌이어든 必變色而作이러시다 |
04분 09초 |
수강
-
|
| 10-47 강 | 鄕黨 第十 : 16. 升車하사 必正立執綏러시다 |
02분 52초 |
수강
-
|
| 10-48 강 | 鄕黨 第十 : 車中에 不內顧하시며 |
02분 02초 |
수강
-
|
| 10-49 강 | 鄕黨 第十 : 17. 色斯擧矣하여 |
02분 27초 |
수강
-
|
| 10-50 강 | 鄕黨 第十 : 曰 山梁雌雉가 時哉時哉인저(오류확인중) |
00분 00초 |
수강
-
|
| 11-1 강 | 先進 第十一 : 此篇은 多評弟子賢否하니 |
01분 47초 |
수강
-
|
| 11-2 강 | 先進 第十一 : 1. 子曰 先進이 於禮樂에 |
04분 12초 |
수강
-
|
| 11-3 강 | 先進 第十一 : 如用之則吾從先進하리라 |
01분 59초 |
수강
-
|
| 11-4 강 | 先進 第十一 : 2. 子曰 從我於陳蔡者皆不及門也로다 |
03분 11초 |
수강
-
|
| 11-5 강 | 先進 第十一 : 德行엔 顔淵閔子騫 伯牛仲弓이요 |
03분 40초 |
수강
-
|
| 11-6 강 | 先進 第十一 : 3. 子曰 回也는 非助我者也로다 |
03분 40초 |
수강
-
|
| 11-7 강 | 先進 第十一 : 4. 子曰 孝哉라 閔子騫이여 |
02분 35초 |
수강
-
|
| 11-8 강 | 先進 第十一 : 5. 南容이 三復白圭어늘 |
04분 47초 |
수강
-
|
| 11-9 강 | 先進 第十一 : 6. 季康子問 弟子孰爲好學이니잇고 |
03분 50초 |
수강
-
|
| 11-10 강 | 先進 第十一 : 7. 顔淵死어늘 顔路請子之車하여 |
05분 49초 |
수강
-
|
| 11-11 강 | 先進 第十一 : 胡氏曰 孔子遇舊館人之喪하여 |
06분 50초 |
수강
-
|
| 11-12 강 | 先進 第十一 : 8. 顔淵死어늘 子曰 噫라 |
01분 00초 |
수강
-
|
| 11-13 강 | 先進 第十一 : 9. 顔淵死어늘 |
01분 06초 |
수강
-
|
| 11-14 강 | 先進 第十一 : 非夫人之爲慟이요 |
01분 55초 |
수강
-
|
| 11-15 강 | 先進 第十一 : 10. 顔淵死어늘 |
01분 27초 |
수강
-
|
| 11-16 강 | 先進 第十一 : 子曰 回也는 |
01분 57초 |
수강
-
|
| 11-17 강 | 先進 第十一 : 11. 季路問事鬼神한대 |
12분 17초 |
수강
-
|
| 11-18 강 | 先進 第十一 : 程子曰 晝夜者는 |
00분 37초 |
수강
-
|
| 11-19 강 | 先進 第十一 : 12. 閔子는 侍側에 |
01분 45초 |
수강
-
|
| 11-20 강 | 先進 第十一 : 若由也는 不得其死然이로다 |
02분 31초 |
수강
-
|
| 11-21 강 | 先進 第十一 : 13. 魯人爲長府어늘 |
03분 39초 |
수강
-
|
| 11-22 강 | 先進 第十一 : 14. 子曰 由之瑟을 奚爲於丘之門고 |
02분 34초 |
수강
-
|
| 11-23 강 | 先進 第十一 : 門人이 不敬子路한대 |
10분 08초 |
수강
-
|
| 11-24 강 | 先進 第十一 : 15. 子貢이 問 師與商也孰賢이니잇고 |
03분 16초 |
수강
-
|
| 11-25 강 | 先進 第十一 : 子曰 過猶不及이니라 |
03분 27초 |
수강
-
|
| 11-26 강 | 先進 第十一 : 16. 季氏富於周公이어늘 |
03분 57초 |
수강
-
|
| 11-27 강 | 先進 第十一 : 子曰 非吾徒也로소니 |
06분 59초 |
수강
-
|
| 11-28 강 | 先進 第十一 : 17. 柴也는 愚하고 |
07분 31초 |
수강
-
|
| 11-29 강 | 先進 第十一 : 參也는 魯하고 |
03분 36초 |
수강
-
|
| 11-30 강 | 先進 第十一 : 師也는 (벽)하고 |
03분 34초 |
수강
-
|
| 11-31 강 | 先進 第十一 : 18. 子曰 回也는 其庶乎요 屢空이니라 |
02분 12초 |
수강
-
|
| 11-32 강 | 先進 第十一 : 賜는 不受命이요 |
04분 52초 |
수강
-
|
| 11-33 강 | 先進 第十一 : 范氏曰 屢空者는 |
06분 05초 |
수강
-
|
| 11-34 강 | 先進 第十一 : 19. 子張이 問善人之道한대 |
05분 51초 |
수강
-
|
| 11-35 강 | 先進 第十一 : 20. 子曰 論篤을 是與면 |
02분 33초 |
수강
-
|
| 11-36 강 | 先進 第十一 : 21. 子路問聞斯行諸잇가 |
04분 44초 |
수강
-
|
| 11-37 강 | 先進 第十一 : 子路는 有聞이요 |
04분 49초 |
수강
-
|
| 11-38 강 | 先進 第十一 : 22. 子畏於匡하신대 顔淵後러니 |
08분 56초 |
수강
-
|
| 11-39 강 | 先進 第十一 : 23. 季子然이 問 仲由 求는 |
01분 29초 |
수강
-
|
| 11-40 강 | 先進 第十一 : 子曰 吾以子爲異之問이러니 |
09분 10초 |
수강
-
|
| 11-41 강 | 先進 第十一 : 今由與求也는 |
01분 36초 |
수강
-
|
| 11-42 강 | 先進 第十一 : 子曰 殺父與君은 |
05분 30초 |
수강
-
|
| 11-43 강 | 先進 第十一 : 24. 子路使子羔爲費宰한대 |
03분 10초 |
수강
-
|
| 11-44 강 | 先進 第十一 : 子曰 是故로 惡夫 者하노라 |
04분 09초 |
수강
-
|
| 11-45 강 | 先進 第十一 : 范氏曰 古者에 |
02분 27초 |
수강
-
|
| 11-46 강 | 先進 第十一 : 25. 子路曾晳 有公西華侍坐러니 |
05분 38초 |
수강
-
|
| 11-47 강 | 先進 第十一 : 居則曰 不吾知也라하나니 |
02분 12초 |
수강
-
|
| 11-48 강 | 先進 第十一 : 子路率爾而對曰 |
05분 04초 |
수강
-
|
| 11-49 강 | 先進 第十一 : 求아 爾는 何如오 對曰 |
02분 48초 |
수강
-
|
| 11-50 강 | 先進 第十一 : 赤아 爾는 何如오 |
04분 49초 |
수강
-
|
| 11-51 강 | 先進 第十一 : 點아 爾는 何如오 鼓瑟希러니 |
09분 57초 |
수강
-
|
| 11-52 강 | 先進 第十一 : 曾點之學이 |
06분 21초 |
수강
-
|
| 11-53 강 | 先進 第十一 : 三子者出커늘 曾晳後러니 |
02분 17초 |
수강
-
|
| 11-54 강 | 先進 第十一 : 曰 爲國以禮어늘 |
02분 33초 |
수강
-
|
| 11-55 강 | 先進 第十一 : 唯赤則非邦也與잇가 |
02분 57초 |
수강
-
|
| 11-56 강 | 先進 第十一 : 程子曰 古之學者는 |
06분 29초 |
수강
-
|
| 11-57 강 | 先進 第十一 : 又曰 三子는 皆欲得國而治之라 |
04분 27초 |
수강
-
|
| 12-1 강 | 顔淵 第十二 : 1. 顔淵問仁한대 |
04분 20초 |
수강
-
|
| 12-2 강 | 顔淵 第十二 : 仁者는 本心之全德이라 |
08분 34초 |
수강
-
|
| 12-3 강 | 顔淵 第十二 : 又言爲仁由己而非他人所能預니 |
05분 04초 |
수강
-
|
| 12-4 강 | 顔淵 第十二 : 顔淵曰 請問其目하노이다 |
07분 23초 |
수강
-
|
| 12-5 강 | 顔淵 第十二 : 程子曰 顔淵이 |
02분 41초 |
수강
-
|
| 12-6 강 | 顔淵 第十二 : 其視箴曰 心兮本虛하니 |
07분 26초 |
수강
-
|
| 12-7 강 | 顔淵 第十二 : 其言箴曰 人心之動이 |
07분 51초 |
수강
-
|
| 12-8 강 | 顔淵 第十二 : 愚按 此章問答은 |
04분 47초 |
수강
-
|
| 12-9 강 | 顔淵 第十二 : 2. 仲弓問仁한대 |
05분 31초 |
수강
-
|
| 12-10 강 | 顔淵 第十二 : 程子曰 孔子言仁에 |
07분 59초 |
수강
-
|
| 12-11 강 | 顔淵 第十二 : 3. 司馬牛問仁한대 |
03분 25초 |
수강
-
|
| 12-12 강 | 顔淵 第十二 : 曰 其言也이면 |
03분 58초 |
수강
-
|
| 12-13 강 | 顔淵 第十二 : 程子曰 雖爲司馬牛多言故로 |
05분 28초 |
수강
-
|
| 12-14 강 | 顔淵 第十二 : 4. 司馬牛問君子한대 |
00분 53초 |
수강
-
|
| 12-15 강 | 顔淵 第十二 : 曰 不憂不懼면 |
05분 44초 |
수강
-
|
| 12-16 강 | 顔淵 第十二 : 5. 司馬牛憂曰 |
01분 18초 |
수강
-
|
| 12-17 강 | 顔淵 第十二 : 死生有命이요 |
01분 43초 |
수강
-
|
| 12-18 강 | 顔淵 第十二 : 君子敬而無失하며 |
05분 00초 |
수강
-
|
| 12-19 강 | 顔淵 第十二 : 胡氏曰 子夏四海皆兄弟之言은 |
03분 05초 |
수강
-
|
| 12-20 강 | 顔淵 第十二 : 6. 子張問明한대 |
11분 39초 |
수강
-
|
| 12-21 강 | 顔淵 第十二 : 楊氏曰 驟而語之와 |
02분 34초 |
수강
-
|
| 12-22 강 | 顔淵 第十二 : 7. 子貢이 問政한대 |
02분 43초 |
수강
-
|
| 12-23 강 | 顔淵 第十二 : 子貢曰 必不得已而去인댄 |
03분 10초 |
수강
-
|
| 12-24 강 | 顔淵 第十二 : 程子曰 孔門弟子善問하여 |
05분 52초 |
수강
-
|
| 12-25 강 | 顔淵 第十二 : 8. 棘子成曰 君子는 |
03분 21초 |
수강
-
|
| 12-26 강 | 顔淵 第十二 : 文猶質也며 質猶文也니 |
05분 38초 |
수강
-
|
| 12-27 강 | 顔淵 第十二 : 9. 哀公이 問於有若曰 |
01분 23초 |
수강
-
|
| 12-28 강 | 顔淵 第十二 : 有若對曰 徹乎시니잇고 |
08분 34초 |
수강
-
|
| 12-29 강 | 顔淵 第十二 : 曰 二도 吾猶不足이어니 |
01분 10초 |
수강
-
|
| 12-30 강 | 顔淵 第十二 : 對曰 百姓足이면 |
01분 52초 |
수강
-
|
| 12-31 강 | 顔淵 第十二 : 楊氏曰 人政은 |
06분 10초 |
수강
-
|
| 12-32 강 | 顔淵 第十二 : 10. 子張이 問崇德辨惑한대 |
04분 11초 |
수강
-
|
| 12-33 강 | 顔淵 第十二 : 誠不以富요 亦祗以異니라 |
19분 08초 |
수강
-
|
| 12-34 강 | 顔淵 第十二 : 11. 齊景公이 問政於孔子한대 |
08분 18초 |
수강
-
|
| 12-35 강 | 顔淵 第十二 : 公曰 善哉라 |
05분 28초 |
수강
-
|
| 12-36 강 | 顔淵 第十二 : 12. 子曰 片言에 |
01분 28초 |
수강
-
|
| 12-37 강 | 顔淵 第十二 : 子路는 無宿諾이러라 |
05분 52초 |
수강
-
|
| 12-38 강 | 顔淵 第十二 : 13. 子曰 聽訟이 |
04분 15초 |
수강
-
|
| 12-39 강 | 顔淵 第十二 : 14. 子張問政한대 |
03분 36초 |
수강
-
|
| 12-40 강 | 顔淵 第十二 : 15. 子曰 博學於文이요 |
00분 25초 |
수강
-
|
| 12-41 강 | 顔淵 第十二 : 16. 子曰 君子는 成人之美하고 |
02분 08초 |
수강
-
|
| 12-42 강 | 顔淵 第十二 : 17. 季康子問政於孔子한대 |
04분 05초 |
수강
-
|
| 12-43 강 | 顔淵 第十二 : 18. 季康子患盜하여 |
03분 40초 |
수강
-
|
| 12-44 강 | 顔淵 第十二 : 19. 季康子問政於孔子曰 |
12분 43초 |
수강
-
|
| 12-45 강 | 顔淵 第十二 : 20. 子張問 士何如라야 |
03분 12초 |
수강
-
|
| 12-46 강 | 顔淵 第十二 : 子張對曰 在邦必聞하며 |
02분 13초 |
수강
-
|
| 12-47 강 | 顔淵 第十二 : 夫達也者는 質直而好義하며 |
03분 40초 |
수강
-
|
| 12-47 강 | 顔淵 第十二 : 夫聞也者는 色取仁而行違요 |
02분 31초 |
수강
-
|
| 12-48 강 | 顔淵 第十二 : 程子曰 學者는 |
04분 27초 |
수강
-
|
| 12-49 강 | 顔淵 第十二 : 21. 樊遲從遊於舞雩之下러니 |
02분 53초 |
수강
-
|
| 12-50 강 | 顔淵 第十二 : 先事後得이 非崇德與아 |
09분 45초 |
수강
-
|
| 12-51 강 | 顔淵 第十二 : 范氏曰 先事後得은 |
03분 51초 |
수강
-
|
| 12-52 강 | 顔淵 第十二 : 22. 樊遲問仁한대 子曰 愛人이니라 |
08분 39초 |
수강
-
|
| 12-53 강 | 顔淵 第十二 : 伊尹은 湯之相也라 |
02분 15초 |
수강
-
|
| 12-54 강 | 顔淵 第十二 : 程子曰 聖人之語가 |
05분 15초 |
수강
-
|
| 12-55 강 | 顔淵 第十二 : 子貢問友한대 子曰 忠告而善道之하되 |
02분 40초 |
수강
-
|
| 12-56 강 | 顔淵 第十二 : 24. 曾子曰 君子는 |
01분 48초 |
수강
-
|
| 13-1 강 | 子路 第十三 : 1. 子路問政한대 |
08분 16초 |
수강
-
|
| 13-2 강 | 子路 第十三 : 請益한대 曰 無倦이니라 |
02분 19초 |
수강
-
|
| 13-3 강 | 子路 第十三 : 2. 仲弓이 爲季氏宰하여 |
04분 16초 |
수강
-
|
| 13-4 강 | 子路 第十三 : 曰 焉知賢才而擧之리잇고 |
04분 16초 |
수강
-
|
| 13-5 강 | 子路 第十三 : 范氏曰 不先有司면 |
01분 56초 |
수강
-
|
| 13-6 강 | 子路 第十三 : 3. 子路曰 衛君이 |
05분 30초 |
수강
-
|
| 13-7 강 | 子路 第十三 : 子路曰 有是哉라 |
02분 23초 |
수강
-
|
| 13-8 강 | 子路 第十三 : 名不正이면 則言不順하고 |
01분 44초 |
수강
-
|
| 13-9 강 | 子路 第十三 : 事不成이면 則禮樂不興하고 |
02분 44초 |
수강
-
|
| 13-10 강 | 子路 第十三 : 故로 君子名之면 |
02분 10초 |
수강
-
|
| 13-11 강 | 子路 第十三 : 胡氏曰 衛世子 恥其母南子之淫亂하여 |
06분 30초 |
수강
-
|
| 13-12 강 | 子路 第十三 : 4. 樊遲請學稼한대 |
03분 06초 |
수강
-
|
| 13-13 강 | 子路 第十三 : 上好禮면 則民莫敢不敬하고 |
04분 18초 |
수강
-
|
| 13-14 강 | 子路 第十三 : 楊氏曰 樊須遊聖人之門而問稼圃하니 |
03분 58초 |
수강
-
|
| 13-15 강 | 子路 第十三 : 5. 子曰 誦詩三百하되 |
09분 38초 |
수강
-
|
| 13-16 강 | 子路 第十三 : 6. 子曰 其身正이면 |
00분 24초 |
수강
-
|
| 13-17 강 | 子路 第十三 : 7. 子曰 魯衛之政이 |
01분 10초 |
수강
-
|
| 13-18 강 | 子路 第十三 : 8. 子謂衛公子荊하시되 |
05분 11초 |
수강
-
|
| 13-19 강 | 子路 第十三 : 子適衛하실새 有僕이러니 |
00분 35초 |
수강
-
|
| 13-20 강 | 子路 第十三 : 有曰 旣庶矣어든 |
01분 16초 |
수강
-
|
| 13-21 강 | 子路 第十三 : 曰 旣富矣어든 |
06분 07초 |
수강
-
|
| 13-22 강 | 子路 第十三 : 10. 子曰 苟有用我者면 |
02분 39초 |
수강
-
|
| 13-23 강 | 子路 第十三 : 11. 子曰 善人이 爲邦百年이면 |
04분 37초 |
수강
-
|
| 13-24 강 | 子路 第十三 : 12. 子曰 如有王者라도 |
03분 30초 |
수강
-
|
| 13-25 강 | 子路 第十三 : 13. 子曰 苟正其身矣면 |
00분 38초 |
수강
-
|
| 13-26 강 | 子路 第十三 : 14. 子退朝어늘 |
14분 15초 |
수강
-
|
| 13-27 강 | 子路 第十三 : 15. 定公이 問一言而可以興邦이라하니 |
01분 38초 |
수강
-
|
| 13-28 강 | 子路 第十三 : 人之言曰 爲君難하며 |
00분 21초 |
수강
-
|
| 13-29 강 | 子路 第十三 : 如知爲君之難也인댄 |
02분 39초 |
수강
-
|
| 13-30 강 | 子路 第十三 : 曰 一言而喪邦이라하니 |
01분 41초 |
수강
-
|
| 13-31 강 | 子路 第十三 : 如其善而莫之違也인댄 |
03분 43초 |
수강
-
|
| 13-32 강 | 子路 第十三 : 16. 葉公이 問政한대 |
01분 11초 |
수강
-
|
| 13-33 강 | 子路 第十三 : 17. 子夏爲 父宰하여 |
03분 48초 |
수강
-
|
| 13-34 강 | 子路 第十三 : 18. 葉公이 語孔子曰 |
01분 11초 |
수강
-
|
| 13-34 강 | 子路 第十三 : 孔子曰 吾黨之直者는 |
03분 06초 |
수강
-
|
| 13-35 강 | 子路 第十三 : 19. 樊遲問仁한대 |
04분 28초 |
수강
-
|
| 13-36 강 | 子路 第十三 : 20. 子貢問曰 何如라야 |
03분 40초 |
수강
-
|
| 13-37 강 | 子路 第十三 : 曰 敢問其次하노이다 |
04분 32초 |
수강
-
|
| 13-38 강 | 子路 第十三 : 曰 今之從政者는 |
04분 05초 |
수강
-
|
| 13-39 강 | 子路 第十三 : 21. 子曰 不得中行而與之인댄 |
02분 38초 |
수강
-
|
| 13-40 강 | 子路 第十三 : 孟子曰 孔子豈不欲中道哉시리오마는 |
03분 19초 |
수강
-
|
| 13-41 강 | 子路 第十三 : 22. 子曰 南人이 |
02분 12초 |
수강
-
|
| 13-42 강 | 子路 第十三 : 不恒其德이면 |
04분 43초 |
수강
-
|
| 13-43 강 | 子路 第十三 : 23. 子曰 君子는 |
02분 23초 |
수강
-
|
| 13-44 강 | 子路 第十三 : 24. 子貢問曰 鄕人皆好之면 |
04분 29초 |
수강
-
|
| 13-45 강 | 子路 第十三 : 25. 子曰 君子는 易事而難說也니 |
06분 31초 |
수강
-
|
| 13-46 강 | 子路 第十三 : 26. 子曰 君子는 泰而不驕하고 |
01분 32초 |
수강
-
|
| 13-47 강 | 子路 第十三 : 27. 子曰 剛毅木訥이 近仁이니라 |
04분 34초 |
수강
-
|
| 13-48 강 | 子路 第十三 : 28. 子路問曰 何如라야 |
03분 57초 |
수강
-
|
| 13-49 강 | 子路 第十三 : 29. 子曰 善人이 敎民七年이면 |
03분 44초 |
수강
-
|
| 13-50 강 | 子路 第十三 : 30. 子曰 以不敎民戰이면 |
01분 39초 |
수강
-
|
| 14-1 강 | 憲問 第十四: 1. 憲問恥한대 子曰 邦有道에 |
06분 55초 |
수강
-
|
| 14-2 강 | 憲問 第十四: 2. 克伐怨欲을 |
01분 10초 |
수강
-
|
| 14-3 강 | 憲問 第十四: 子曰 可以爲難矣어니와 |
02분 43초 |
수강
-
|
| 14-4 강 | 憲問 第十四: 程子曰 人而無克伐怨欲은 |
07분 27초 |
수강
-
|
| 14-5 강 | 憲問 第十四: 3. 子曰 士而懷居면 |
00분 40초 |
수강
-
|
| 14-6 강 | 憲問 第十四: 4. 子曰 邦有道엔 |
02분 52초 |
수강
-
|
| 14-7 강 | 憲問 第十四: 5. 子曰 有德者는 必有言이어니와 |
06분 45초 |
수강
-
|
| 14-8 강 | 憲問 第十四: 6. 南宮适이 問於孔子曰 |
03분 25초 |
수강
-
|
| 14-9 강 | 憲問 第十四: 7. 子曰 君子而不仁者는 有矣夫어니와 |
01분 40초 |
수강
-
|
| 14-10 강 | 憲問 第十四: 8. 子曰 愛之인댄 能勿勞乎아 |
02분 13초 |
수강
-
|
| 14-11 강 | 憲問 第十四: 9. 子曰 爲命에 裨諶草創之하고 |
06분 53초 |
수강
-
|
| 14-12 강 | 憲問 第十四: 10. 或問子産한대 |
01분 15초 |
수강
-
|
| 14-13 강 | 憲問 第十四: 問子西한대 曰 彼哉彼哉여 |
03분 25초 |
수강
-
|
| 14-14 강 | 憲問 第十四: 問管仲한대 曰 |
06분 39초 |
수강
-
|
| 14-15 강 | 憲問 第十四: 11. 子曰 貧而無怨은 難하고 |
06분 47초 |
수강
-
|
| 14-16 강 | 憲問 第十四: 12. 子曰 孟公綽이 |
06분 54초 |
수강
-
|
| 14-17 강 | 憲問 第十四: 13. 子路問成人한대 |
07분 05초 |
수강
-
|
| 14-18 강 | 憲問 第十四: 曰 今之成人者는 |
02분 42초 |
수강
-
|
| 14-19 강 | 憲問 第十四: 程子曰 知之明 |
07분 27초 |
수강
-
|
| 14-20 강 | 憲問 第十四: 14. 子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 |
02분 48초 |
수강
-
|
| 14-21 강 | 憲問 第十四: 公明賈對曰 |
07분 21초 |
수강
-
|
| 14-22 강 | 憲問 第十四: 15. 子曰 臧武仲이 |
04분 47초 |
수강
-
|
| 14-23 강 | 憲問 第十四: 范氏曰 要君者는 |
02분 59초 |
수강
-
|
| 14-24 강 | 憲問 第十四: 16. 子曰 晋文公은 譎而不正하고 |
05분 40초 |
수강
-
|
| 14-25 강 | 憲問 第十四: 17. 子路曰 桓公殺公子糾어늘 |
06분 34초 |
수강
-
|
| 14-26 강 | 憲問 第十四: 子曰 桓公九合諸侯하되 |
05분 57초 |
수강
-
|
| 14-27 강 | 憲問 第十四: 18. 子貢曰 管仲은 |
01분 27초 |
수강
-
|
| 14-28 강 | 憲問 第十四: 子曰 管仲이 相桓公覇諸侯하여 |
03분 04초 |
수강
-
|
| 14-29 강 | 憲問 第十四: 豈若匹夫匹婦之爲諒也하여 |
03분 26초 |
수강
-
|
| 14-30 강 | 憲問 第十四: 程子曰 桓公은 兄也요 |
09분 21초 |
수강
-
|
| 14-31 강 | 憲問 第十四: 19. 公叔文子之臣大夫 이 |
01분 54초 |
수강
-
|
| 14-32 강 | 憲問 第十四: 子聞之하시고 曰 可以爲文矣로다 |
03분 50초 |
수강
-
|
| 14-33 강 | 憲問 第十四: 20. 子言衛靈公之無道也러시니 |
00분 52초 |
수강
-
|
| 14-34 강 | 憲問 第十四: 孔子曰 仲叔 는 |
08분 50초 |
수강
-
|
| 14-35 강 | 憲問 第十四: 21. 子曰 其言之不 이면 |
01분 36초 |
수강
-
|
| 14-36 강 | 憲問 第十四: 22. 陳成子弑簡公이어늘 |
00분 41초 |
수강
-
|
| 14-37 강 | 憲問 第十四: 孔子沐浴而朝하사 |
02분 51초 |
수강
-
|
| 14-38 강 | 憲問 第十四: 公曰 告夫三子하라 |
00분 40초 |
수강
-
|
| 14-39 강 | 憲問 第十四: 孔子曰 以吾從大夫之後라 |
02분 57초 |
수강
-
|
| 14-40 강 | 憲問 第十四: 之三子하여 告하신대 |
02분 35초 |
수강
-
|
| 14-41 강 | 憲問 第十四: 程子曰 左氏記孔子之言曰 |
06분 10초 |
수강
-
|
| 14-42 강 | 憲問 第十四: 23. 子路問事君한대 |
02분 18초 |
수강
-
|
| 14-43 강 | 憲問 第十四: 24. 子曰 君子는 上達하고 |
02분 12초 |
수강
-
|
| 14-44 강 | 憲問 第十四: 25. 子曰 古之學者는 爲己러니 |
05분 02초 |
수강
-
|
| 14-45 강 | 憲問 第十四: 26. 伯玉이 使人於孔子어늘 |
01분 19초 |
수강
-
|
| 14-46 강 | 憲問 第十四: 孔子與之坐而問焉曰 |
06분 20초 |
수강
-
|
| 14-47 강 | 憲問 第十四: 27. 子曰 不在其位하여는 |
02분 10초 |
수강
-
|
| 14-48 강 | 憲問 第十四: 28. 曾子曰 君子는 |
04분 50초 |
수강
-
|
| 14-49 강 | 憲問 第十四: 29. 子曰 君子는 |
01분 05초 |
수강
-
|
| 14-50 강 | 憲問 第十四: 30. 子曰 君子道者三에 |
02분 06초 |
수강
-
|
| 14-51 강 | 憲問 第十四: 子貢曰 夫子自道也샷다 |
02분 48초 |
수강
-
|
| 14-52 강 | 憲問 第十四: 31. 子貢方人하더니 |
02분 45초 |
수강
-
|
| 14-53 강 | 憲問 第十四: 32. 子曰 不患人之不己知요 |
02분 11초 |
수강
-
|
| 14-53 강 | 憲問 第十四: 33. 子曰 不逆詐하며 |
05분 13초 |
수강
-
|
| 14-54 강 | 憲問 第十四: 34. 微生畝謂孔子曰 |
02분 20초 |
수강
-
|
| 14-55 강 | 憲問 第十四: 孔子曰 非敢爲也라 |
01분 38초 |
수강
-
|
| 14-56 강 | 憲問 第十四: 35. 子曰 驥는 不稱其力이라 |
01분 14초 |
수강
-
|
| 14-57 강 | 憲問 第十四: 36. 或曰 以德報怨이 |
01분 50초 |
수강
-
|
| 14-58 강 | 憲問 第十四: 以直報怨이요 以德報德이니라 |
07분 12초 |
수강
-
|
| 14-59 강 | 憲問 第十四: 37. 子曰 莫我知也夫인저 |
01분 02초 |
수강
-
|
| 14-60 강 | 憲問 第十四: 子貢曰 何爲其莫知子也잇고 |
07분 12초 |
수강
-
|
| 14-61 강 | 憲問 第十四: 程子曰 不怨天 |
02분 44초 |
수강
-
|
| 14-62 강 | 憲問 第十四: 38. 公伯寮 子路於季孫이어늘 |
04분 46초 |
수강
-
|
| 14-63 강 | 憲問 第十四: 子曰 道之將行也與도 |
03분 06초 |
수강
-
|
| 14-64 강 | 憲問 第十四: 39. 子曰 賢者는 (避)世하고 |
01분 29초 |
수강
-
|
| 14-65 강 | 憲問 第十四: 其次는 色하고 |
03분 17초 |
수강
-
|
| 14-66 강 | 憲問 第十四: 40. 子曰 作者七人矣로다 |
01분 23초 |
수강
-
|
| 14-67 강 | 憲問 第十四: 41. 子路宿於石門이러니(교안불일치) |
05분 02초 |
수강
-
|
| 14-68 강 | 憲問 第十四: 42. 子擊磬於衛러시니 |
02분 51초 |
수강
-
|
| 14-69 강 | 憲問 第十四: 旣而오 曰 鄙哉라 |
04분 52초 |
수강
-
|
| 14-70 강 | 憲問 第十四: 子曰 果哉라 末之難矣니라 |
03분 07초 |
수강
-
|
| 14-71 강 | 憲問 第十四: 43. 子張曰 書云 高宗이 |
01분 21초 |
수강
-
|
| 14-72 강 | 憲問 第十四: 子曰 何必高宗이리오 |
05분 25초 |
수강
-
|
| 14-73 강 | 憲問 第十四: 44. 子曰 上好禮則民易使也니라 |
00분 52초 |
수강
-
|
| 14-74 강 | 憲問 第十四: 45. 子路問君子한대 |
07분 34초 |
수강
-
|
| 14-75 강 | 憲問 第十四: 程子曰 君子修己以安百姓하고 |
02분 53초 |
수강
-
|
| 14-76 강 | 憲問 第十四: 46. 原壤이 夷俟러니 |
05분 22초 |
수강
-
|
| 14-77 강 | 憲問 第十四: 47. 闕黨童子將命이어늘 |
02분 24초 |
수강
-
|
| 14-78 강 | 憲問 第十四: 子曰 吾見其居於位也하며 |
04분 28초 |
수강
-
|
| 15-1 강 | 衛靈公 第十五 : 1. 衛靈公이 問陳於孔子한대 |
03분 25초 |
수강
-
|
| 15-2 강 | 衛靈公 第十五 : 在陳絶量하니 從者病하여 |
00분 45초 |
수강
-
|
| 15-3 강 | 衛靈公 第十五 : 子路 見曰 |
03분 23초 |
수강
-
|
| 15-4 강 | 衛靈公 第十五 : 2. 子曰 賜也아 女以予爲多學而識(지)之者與아 |
02분 53초 |
수강
-
|
| 15-5 강 | 衛靈公 第十五 : 曰 非也라 予는 一以貫之니라 |
06분 41초 |
수강
-
|
| 15-6 강 | 衛靈公 第十五 : 尹氏曰 孔子之於曾子에는 |
02분 59초 |
수강
-
|
| 15-7 강 | 衛靈公 第十五 : 3. 子曰 由아 知德者鮮矣니라 |
02분 10초 |
수강
-
|
| 15-8 강 | 衛靈公 第十五 : 4. 子曰 無爲而治者는 |
03분 48초 |
수강
-
|
| 15-9 강 | 衛靈公 第十五 : 5. 子張問行한대 |
03분 51초 |
수강
-
|
| 15-10 강 | 衛靈公 第十五 : 立則見其參於前也요 |
05분 24초 |
수강
-
|
| 15-11 강 | 衛靈公 第十五 : 子張이 書諸紳하니라 |
05분 01초 |
수강
-
|
| 15-12 강 | 衛靈公 第十五 : 6. 子曰 直哉라 史魚여 |
03분 23초 |
수강
-
|
| 15-13 강 | 衛靈公 第十五 : 君子哉라 伯玉이여 |
03분 45초 |
수강
-
|
| 15-14 강 | 衛靈公 第十五 : 7. 子曰 可與言而不與之言이면 |
01분 18초 |
수강
-
|
| 15-15 강 | 衛靈公 第十五 : 8. 子曰 志士仁人은 |
07분 28초 |
수강
-
|
| 15-16 강 | 衛靈公 第十五 : 9. 子貢問爲仁한대 |
05분 44초 |
수강
-
|
| 15-17 강 | 衛靈公 第十五 : 10. 顔淵問爲邦한대 |
01분 04초 |
수강
-
|
| 15-18 강 | 衛靈公 第十五 : 子曰 行夏之時하며 |
10분 56초 |
수강
-
|
| 15-19 강 | 衛靈公 第十五 : 乘殷之輅하며 |
02분 36초 |
수강
-
|
| 15-20 강 | 衛靈公 第十五 : 服周之冕하며 |
03분 48초 |
수강
-
|
| 15-21 강 | 衛靈公 第十五 : 樂則韶舞요 |
00분 25초 |
수강
-
|
| 15-22 강 | 衛靈公 第十五 : 放鄭聲하며 遠 人이니 |
04분 11초 |
수강
-
|
| 15-23 강 | 衛靈公 第十五 : 張子曰 禮樂은 |
07분 34초 |
수강
-
|
| 15-24 강 | 衛靈公 第十五 : 11. 子曰 人無遠慮면 |
02분 00초 |
수강
-
|
| 15-25 강 | 衛靈公 第十五 : 12. 子曰 已矣乎라 |
01분 24초 |
수강
-
|
| 15-26 강 | 衛靈公 第十五 : 13. 子曰 臧文仲은 |
06분 28초 |
수강
-
|
| 15-27 강 | 衛靈公 第十五 : 14. 子曰 躬自厚而薄責於人이면 |
01분 57초 |
수강
-
|
| 15-28 강 | 衛靈公 第十五 : 15. 子曰 不曰如之何 |
07분 19초 |
수강
-
|
| 15-29 강 | 衛靈公 第十五 : 16. 子曰 群居終日에 |
02분 52초 |
수강
-
|
| 15-30 강 | 衛靈公 第十五 : 17. 子曰 君子는 義以爲質이요 |
06분 46초 |
수강
-
|
| 15-31 강 | 衛靈公 第十五 : 18. 子曰 君子는 |
00분 31초 |
수강
-
|
| 15-32 강 | 衛靈公 第十五 : 19. 子曰 君子는 疾沒世而名不稱焉이니라 |
01분 32초 |
수강
-
|
| 15-33 강 | 衛靈公 第十五 : 20. 子曰 君子는 求諸己요 |
03분 55초 |
수강
-
|
| 15-34 강 | 衛靈公 第十五 : 21. 子曰 君子는 矜而不爭하고 |
01분 52초 |
수강
-
|
| 15-35 강 | 衛靈公 第十五 : 22. 子曰 君子는 不以言擧人하며 |
01분 12초 |
수강
-
|
| 15-36 강 | 衛靈公 第十五 : 23. 子貢問曰 |
04분 31초 |
수강
-
|
| 15-37 강 | 衛靈公 第十五 : 24. 子曰 吾之於人也에 |
03분 32초 |
수강
-
|
| 15-38 강 | 衛靈公 第十五 : 斯民也는 |
05분 10초 |
수강
-
|
| 15-39 강 | 衛靈公 第十五 : 25. 子曰 吾猶及史之闕文也와 |
05분 38초 |
수강
-
|
| 15-40 강 | 衛靈公 第十五 : 26. 子曰 巧言은 亂德이요 |
01분 26초 |
수강
-
|
| 15-41 강 | 衛靈公 第十五 : 27. 子曰 衆惡之라도 |
01분 47초 |
수강
-
|
| 15-42 강 | 衛靈公 第十五 : 28. 子曰 人能弘道요 |
03분 32초 |
수강
-
|
| 15-43 강 | 衛靈公 第十五 : 29. 子曰 過而不改가 |
01분 12초 |
수강
-
|
| 15-44 강 | 衛靈公 第十五 : 30. 子曰 吾嘗終日不食하고 |
03분 10초 |
수강
-
|
| 15-45 강 | 衛靈公 第十五 : 31. 子曰 君子는 謀道요 |
06분 00초 |
수강
-
|
| 15-46 강 | 衛靈公 第十五 : 32. 子曰 知及之라도 |
01분 56초 |
수강
-
|
| 15-47 강 | 衛靈公 第十五 : 知及之하며 仁能守之라도 |
02분 55초 |
수강
-
|
| 15-48 강 | 衛靈公 第十五 : 知及之하며 仁能守之하며 |
04분 43초 |
수강
-
|
| 15-49 강 | 衛靈公 第十五 : 33. 子曰 君子는 |
03분 25초 |
수강
-
|
| 15-50 강 | 衛靈公 第十五 : 34. 子曰 民之於仁也에 |
04분 25초 |
수강
-
|
| 15-51 강 | 衛靈公 第十五 : 35. 子曰 當仁하여는 |
02분 23초 |
수강
-
|
| 15-52 강 | 衛靈公 第十五 : 36. 子曰 君子는 定而不諒이니라 |
01분 46초 |
수강
-
|
| 15-53 강 | 衛靈公 第十五 : 37. 子曰 事君하되 |
02분 01초 |
수강
-
|
| 15-54 강 | 衛靈公 第十五 : 38. 子曰 有敎면 無類니라 |
03분 03초 |
수강
-
|
| 15-55 강 | 衛靈公 第十五 : 39. 子曰 道不同이면 |
00분 51초 |
수강
-
|
| 15-56 강 | 衛靈公 第十五 : 40. 子曰 辭는 達而已矣니라 |
01분 01초 |
수강
-
|
| 15-57 강 | 衛靈公 第十五 : 41. 師冕見할새 及階어늘 |
03분 06초 |
수강
-
|
| 15-58 강 | 衛靈公 第十五 : 師冕出이어늘 |
01분 32초 |
수강
-
|
| 15-59 강 | 衛靈公 第十五 : 子曰 然하다 固相師之道也니라 |
05분 40초 |
수강
-
|
| 16-1 강 | 季氏 第十六 : 1. 季氏將伐 臾러니 |
01분 29초 |
수강
-
|
| 16-2 강 | 季氏 第十六 : 有季路見於孔子曰 |
02분 53초 |
수강
-
|
| 16-3 강 | 季氏 第十六 : 孔子曰 求야 |
01분 16초 |
수강
-
|
| 16-4 강 | 季氏 第十六 : 夫 臾는 昔者에 |
05분 39초 |
수강
-
|
| 16-5 강 | 季氏 第十六 : 有曰 夫子欲之언정 |
01분 10초 |
수강
-
|
| 16-6 강 | 季氏 第十六 : 孔子曰 求아 |
03분 58초 |
수강
-
|
| 16-7 강 | 季氏 第十六 : 且爾言이 過矣로다 |
03분 20초 |
수강
-
|
| 16-8 강 | 季氏 第十六 : 有曰 今夫 臾固而近於費하니 |
01분 41초 |
수강
-
|
| 16-9 강 | 季氏 第十六 : 孔子曰 求아 君子는 |
01분 44초 |
수강
-
|
| 16-10 강 | 季氏 第十六 : 丘也聞有國有家者는 |
06분 51초 |
수강
-
|
| 16-11 강 | 季氏 第十六 : 夫如是故로 遠人不服이면 |
03분 06초 |
수강
-
|
| 16-12 강 | 季氏 第十六 : 今由與求也는 相夫子하되 |
02분 17초 |
수강
-
|
| 16-13 강 | 季氏 第十六 : 而謀動干戈於邦內하니 |
05분 31초 |
수강
-
|
| 16-14 강 | 季氏 第十六 : 2. 孔子曰 天下有道면 |
03분 52초 |
수강
-
|
| 16-15 강 | 季氏 第十六 : 天下有道면 |
01분 52초 |
수강
-
|
| 16-16 강 | 季氏 第十六 : 3. 孔子曰 祿之去公室이 |
05분 20초 |
수강
-
|
| 16-17 강 | 季氏 第十六 : 此章은 專論魯事하니 |
03분 52초 |
수강
-
|
| 16-18 강 | 季氏 第十六 : 4. 孔子曰 益者三友요 |
06분 45초 |
수강
-
|
| 16-19 강 | 季氏 第十六 : 5. 孔子曰 益者三樂(요)요 |
04분 55초 |
수강
-
|
| 16-20 강 | 季氏 第十六 : 6. 孔子曰 侍於君子에 |
02분 45초 |
수강
-
|
| 16-21 강 | 季氏 第十六 : 7. 孔子曰 君子有三戒하니 |
03분 04초 |
수강
-
|
| 16-22 강 | 季氏 第十六 : 范氏曰 聖人이 |
02분 56초 |
수강
-
|
| 16-23 강 | 季氏 第十六 : 8. 孔子曰 君子有三畏하니 |
11분 03초 |
수강
-
|
| 16-24 강 | 季氏 第十六 : 小人은 不知天命而不畏也라 |
02분 09초 |
수강
-
|
| 16-25 강 | 季氏 第十六 : 9. 孔子曰 生而知之者는 |
07분 47초 |
수강
-
|
| 16-26 강 | 季氏 第十六 : 10. 孔子曰 君子有九思하니 |
09분 07초 |
수강
-
|
| 16-27 강 | 季氏 第十六 : 11. 孔子曰 見善如不及하며 |
01분 43초 |
수강
-
|
| 16-28 강 | 季氏 第十六 : 隱居以求其志하며 |
03분 01초 |
수강
-
|
| 16-29 강 | 季氏 第十六 : 12. 齊景公은 有馬千駟하되 |
01분 21초 |
수강
-
|
| 16-30 강 | 季氏 第十六 : 其斯之謂與인저 |
03분 25초 |
수강
-
|
| 16-31 강 | 季氏 第十六 : 13. 陳亢이 問於伯魚曰 |
01분 00초 |
수강
-
|
| 16-32 강 | 季氏 第十六 : 對曰 未也로라 嘗獨立이어시늘 |
02분 55초 |
수강
-
|
| 16-33 강 | 季氏 第十六 : 他日에 又獨立이어시늘 |
08분 09초 |
수강
-
|
| 16-34 강 | 季氏 第十六 : 聞斯二者로라 |
01분 57초 |
수강
-
|
| 16-35 강 | 季氏 第十六 : 14. 邦君之妻를 |
03분 39초 |
수강
-
|
| 17-1 강 | 陽貨 第十七 : 1. 陽貨欲見孔子어늘 |
05분 45초 |
수강
-
|
| 17-2 강 | 陽貨 第十七 : 謂孔子曰 來하라 |
06분 37초 |
수강
-
|
| 17-3 강 | 陽貨 第十七 : 陽貨之欲見孔子는 |
05분 04초 |
수강
-
|
| 17-4 강 | 陽貨 第十七 : 2. 子曰 性相近也나 |
04분 27초 |
수강
-
|
| 17-5 강 | 陽貨 第十七 : 3. 子曰 唯上知與下愚는 |
06분 59초 |
수강
-
|
| 17-6 강 | 陽貨 第十七 : 4. 子之武城하사 |
01분 58초 |
수강
-
|
| 17-7 강 | 陽貨 第十七 : 夫子莞爾而笑曰 |
02분 00초 |
수강
-
|
| 17-8 강 | 陽貨 第十七 : 子游對曰 昔者에 |
01분 57초 |
수강
-
|
| 17-9 강 | 陽貨 第十七 : 子曰 二三者아 |
03분 27초 |
수강
-
|
| 17-10 강 | 陽貨 第十七 : 5. 公山弗擾以費畔하여 |
03분 12초 |
수강
-
|
| 17-11 강 | 陽貨 第十七 : 子曰 夫召我者는 |
04분 34초 |
수강
-
|
| 17-12 강 | 陽貨 第十七 : 6. 子張이 問仁於孔子한대 |
06분 11초 |
수강
-
|
| 17-13 강 | 陽貨 第十七 : 7. 佛 이 召어늘 |
03분 07초 |
수강
-
|
| 17-14 강 | 陽貨 第十七 : 子曰 然하다 有是言也어니와 |
04분 33초 |
수강
-
|
| 17-15 강 | 陽貨 第十七 : 吾豈匏瓜也哉라 |
08분 01초 |
수강
-
|
| 17-16 강 | 陽貨 第十七 : 8. 子曰 由也아 |
02분 00초 |
수강
-
|
| 17-17 강 | 陽貨 第十七 : 好仁不好學이면 |
06분 45초 |
수강
-
|
| 17-18 강 | 陽貨 第十七 : 9. 子曰 小子는 |
01분 07초 |
수강
-
|
| 17-19 강 | 陽貨 第十七 : 可以群이며 |
02분 19초 |
수강
-
|
| 17-21 강 | 陽貨 第十七 : 10. 子謂伯魚曰 |
02분 55초 |
수강
-
|
| 17-22 강 | 陽貨 第十七 : 11. 子曰 禮云禮云이나 |
08분 23초 |
수강
-
|
| 17-23 강 | 陽貨 第十七 : 12. 子曰 色 而內荏을 |
03분 16초 |
수강
-
|
| 17-24 강 | 陽貨 第十七 : 13. 子曰 鄕原은 |
04분 37초 |
수강
-
|
| 17-25 강 | 陽貨 第十七 : 14. 子曰 道聽而塗說이면 |
03분 01초 |
수강
-
|
| 17-26 강 | 陽貨 第十七 : 15. 子曰 鄙夫는 |
03분 43초 |
수강
-
|
| 17-27 강 | 陽貨 第十七 : 苟患失之면 |
06분 18초 |
수강
-
|
| 17-28 강 | 陽貨 第十七 : 16. 子曰 古者에 |
02분 52초 |
수강
-
|
| 17-29 강 | 陽貨 第十七 : 古之狂也는 肆러니 |
05분 16초 |
수강
-
|
| 17-30 강 | 陽貨 第十七 : 17. 子曰 巧言令色이 |
00분 14초 |
수강
-
|
| 17-31 강 | 陽貨 第十七 : 18. 子曰 惡紫之奪朱也하며 |
03분 52초 |
수강
-
|
| 17-32 강 | 陽貨 第十七 : 19. 子曰 予欲無言하노라 |
02분 01초 |
수강
-
|
| 17-33 강 | 陽貨 第十七 : 子貢曰 子如不言이시면 |
00분 44초 |
수강
-
|
| 17-34 강 | 陽貨 第十七 : 子曰 天何言哉시리오 |
07분 41초 |
수강
-
|
| 17-35 강 | 陽貨 第十七 : 20. 孺悲欲見孔子어늘 |
03분 16초 |
수강
-
|
| 17-36 강 | 陽貨 第十七 : 21. 宰我問 三年之喪이 |
02분 06초 |
수강
-
|
| 17-37 강 | 陽貨 第十七 : 舊穀旣沒하고 |
07분 35초 |
수강
-
|
| 17-38 강 | 陽貨 第十七 : 子曰 食夫稻하며 |
06분 10초 |
수강
-
|
| 17-39 강 | 陽貨 第十七 : 女安則爲之하라 |
06분 02초 |
수강
-
|
| 17-40 강 | 陽貨 第十七 : 宰我出이어늘 |
04분 29초 |
수강
-
|
| 17-41 강 | 陽貨 第十七 : 范氏曰 喪雖止於三年이나 |
04분 15초 |
수강
-
|
| 17-42 강 | 陽貨 第十七 : 22. 子曰 飽食終日하여 |
05분 50초 |
수강
-
|
| 17-43 강 | 陽貨 第十七 : 23. 子路曰 君子尙勇乎잇가 |
03분 17초 |
수강
-
|
| 17-44 강 | 陽貨 第十七 : 24. 子貢曰 君子亦有惡乎잇가 |
04분 38초 |
수강
-
|
| 17-45 강 | 陽貨 第十七 : 曰 賜也亦有惡乎아 |
03분 56초 |
수강
-
|
| 17-46 강 | 陽貨 第十七 : 25. 子曰 唯女子與小人은 |
02분 24초 |
수강
-
|
| 17-47 강 | 陽貨 第十七 : 26. 子曰 年四十而見惡焉이면 |
03분 07초 |
수강
-
|
| 18-1 강 | 微子 第十八 : 1. 微子는 去之하고 |
06분 07초 |
수강
-
|
| 18-2 강 | 微子 第十八 : 孔子曰 殷有三仁焉하니라 |
01분 43초 |
수강
-
|
| 18-3 강 | 微子 第十八 : 2. 柳下惠爲士師하여 |
07분 06초 |
수강
-
|
| 18-4 강 | 微子 第十八 : 3. 齊景公이 待孔子曰 |
07분 32초 |
수강
-
|
| 18-5 강 | 微子 第十八 : 4. 齊人이 歸女樂이어늘 |
06분 13초 |
수강
-
|
| 18-6 강 | 微子 第十八 : 5. 楚狂接輿歌而過孔子曰 |
06분 25초 |
수강
-
|
| 18-7 강 | 微子 第十八 : 孔子下하사 欲與之言이러시니 |
01분 29초 |
수강
-
|
| 18-8 강 | 微子 第十八 : 6. 長沮桀溺이 而耕이러니 |
01분 49초 |
수강
-
|
| 18-9 강 | 微子 第十八 : 長沮曰 夫執輿者爲誰오 |
02분 11초 |
수강
-
|
| 18-10 강 | 微子 第十八 : 問於桀溺한대 |
06분 36초 |
수강
-
|
| 18-11 강 | 微子 第十八 : 子路行하여 以告한대 |
05분 12초 |
수강
-
|
| 18-12 강 | 微子 第十八 : 7. 子路從而後에 |
03분 55초 |
수강
-
|
| 18-13 강 | 微子 第十八 : 子路拱而立한대 |
00분 24초 |
수강
-
|
| 18-14 강 | 微子 第十八 : 止子路宿하여 殺鷄爲黍而食之하고 |
03분 13초 |
수강
-
|
| 18-15 강 | 微子 第十八 : 子路曰 不仕無義하니 |
07분 55초 |
수강
-
|
| 18-16 강 | 微子 第十八 : 范氏曰 隱者는 |
04분 04초 |
수강
-
|
| 18-17 강 | 微子 第十八 : 8. 逸民은 伯夷와 叔齊와 |
01분 56초 |
수강
-
|
| 18-18 강 | 微子 第十八 : 子曰 不降其志하며 |
03분 50초 |
수강
-
|
| 18-19 강 | 微子 第十八 : 謂虞仲夷逸하시되 |
02분 30초 |
수강
-
|
| 18-20 강 | 微子 第十八 : 我則異於是하여 |
01분 50초 |
수강
-
|
| 18-21 강 | 微子 第十八 : 謝氏曰 七人은 |
04분 08초 |
수강
-
|
| 18-22 강 | 微子 第十八 : 尹氏曰 七人은 |
02분 21초 |
수강
-
|
| 18-23 강 | 微子 第十八 : 9. 大(太)師摯는 適齊하고 |
02분 44초 |
수강
-
|
| 18-24 강 | 微子 第十八 : 鼓方叔은 入於河하고 |
08분 17초 |
수강
-
|
| 18-25 강 | 微子 第十八 : 小師陽과 擊磬襄은 |
04분 40초 |
수강
-
|
| 18-26 강 | 微子 第十八 : 10. 周公이 謂魯公曰 |
09분 03초 |
수강
-
|
| 18-27 강 | 微子 第十八 : 11. 周有八士하니 伯達과 |
01분 28초 |
수강
-
|
| 19-1 강 | 子張 第十九 : 此篇은 皆記弟子 |
01분 48초 |
수강
-
|
| 19-2 강 | 子張 第十九 : 1. 子張曰 士見危致命하며 |
03분 26초 |
수강
-
|
| 19-3 강 | 子張 第十九 : 2. 子張曰 執德不弘하며 |
02분 54초 |
수강
-
|
| 19-4 강 | 子張 第十九 : 3. 子夏之門人이 |
06분 19초 |
수강
-
|
| 19-5 강 | 子張 第十九 : 4. 子夏曰 雖小道나 |
04분 16초 |
수강
-
|
| 19-6 강 | 子張 第十九 : 5. 子夏曰 日知其所亡하며 |
01분 23초 |
수강
-
|
| 19-7 강 | 子張 第十九 : 6. 子夏曰 博學而篤志하며 |
02분 25초 |
수강
-
|
| 19-8 강 | 子張 第十九 : 程子曰 博學而篤志하고 |
14분 55초 |
수강
-
|
| 19-9 강 | 子張 第十九 : 7. 子夏曰 百工居肆하여 |
06분 48초 |
수강
-
|
| 19-10 강 | 子張 第十九 : 8. 子夏曰 小人之過也는 必文이니라 |
01분 41초 |
수강
-
|
| 19-11 강 | 子張 第十九 : 9. 子夏曰 君子有三變하니 |
03분 44초 |
수강
-
|
| 19-12 강 | 子張 第十九 : 10. 子夏曰 君子는 信而後勞其民이니 |
03분 34초 |
수강
-
|
| 19-13 강 | 子張 第十九 : 11. 子夏曰 大德이 |
03분 36초 |
수강
-
|
| 19-14 강 | 子張 第十九 : 12. 子游曰 子夏之門人小子當灑掃 |
02분 24초 |
수강
-
|
| 19-15 강 | 子張 第十九 : 子夏聞之하고 曰 噫라 |
07분 39초 |
수강
-
|
| 19-16 강 | 子張 第十九 : 程子曰 君子敎人有序하여 |
07분 11초 |
수강
-
|
| 19-17 강 | 子張 第十九 : 又曰 自灑掃應對上이면 |
04분 41초 |
수강
-
|
| 19-18 강 | 子張 第十九 : 13. 子夏曰 仕而優則學하고 |
08분 00초 |
수강
-
|
| 19-19 강 | 子張 第十九 : 14. 子游曰 喪은 致乎哀而止니라 |
02분 32초 |
수강
-
|
| 19-20 강 | 子張 第十九 : 15. 子游曰 吾友張也 |
03분 35초 |
수강
-
|
| 19-21 강 | 子張 第十九 : 16. 曾子曰 堂堂乎라 |
03분 44초 |
수강
-
|
| 19-22 강 | 子張 第十九 : 17. 曾子曰 吾聞諸夫子하니 |
02분 00초 |
수강
-
|
| 19-23 강 | 子張 第十九 : 18. 曾子曰 吾聞諸夫子하니 |
03분 20초 |
수강
-
|
| 19-24 강 | 子張 第十九 : 19. 孟氏使陽膚爲士師라 |
04분 57초 |
수강
-
|
| 19-25 강 | 子張 第十九 : 20. 子貢曰 紂之不善이 |
05분 35초 |
수강
-
|
| 19-26 강 | 子張 第十九 : 21. 子貢曰 君子之過也는 |
01분 28초 |
수강
-
|
| 19-27 강 | 子張 第十九 : 22. 衛公孫朝問於子貢曰 |
04분 21초 |
수강
-
|
| 19-28 강 | 子張 第十九 : 23. 叔孫武叔이 |
04분 26초 |
수강
-
|
| 19-29 강 | 子張 第十九 : 夫子之牆은 數 이라 |
02분 51초 |
수강
-
|
| 19-30 강 | 子張 第十九 : 24. 叔孫武叔이 毁仲尼어늘 |
05분 21초 |
수강
-
|
| 19-31 강 | 子張 第十九 : 25. 陳子禽이 謂子貢曰 |
02분 39초 |
수강
-
|
| 19-32 강 | 子張 第十九 : 夫子之不可及也는 |
03분 39초 |
수강
-
|
| 19-33 강 | 子張 第十九 : 夫子之得邦家者인댄 |
08분 27초 |
수강
-
|
| 19-34 강 | 子張 第十九 : 謝氏曰 親子貢稱聖人語하면 |
04분 11초 |
수강
-
|
| 20-1 강 | 堯曰 第二十 : 1. 堯曰 咨爾舜아 |
04분 32초 |
수강
-
|
| 20-2 강 | 堯曰 第二十 : 舜亦以命禹하시니라 |
01분 14초 |
수강
-
|
| 20-3 강 | 堯曰 第二十 : 曰 予小子履는 |
08분 09초 |
수강
-
|
| 20-4 강 | 堯曰 第二十 : 周有大賚하시니 |
03분 19초 |
수강
-
|
| 20-5 강 | 堯曰 第二十 : 雖有周親이나 |
02분 10초 |
수강
-
|
| 20-6 강 | 堯曰 第二十 : 謹權量하며 審法度하며 |
08분 15초 |
수강
-
|
| 20-7 강 | 堯曰 第二十 : 所重은 民食喪祭러시다 |
00분 41초 |
수강
-
|
| 20-8 강 | 堯曰 第二十 : 寬則得衆하고 |
04분 19초 |
수강
-
|
| 20-9 강 | 堯曰 第二十 : 2. 子張이 問於孔子曰 |
07분 05초 |
수강
-
|
| 20-10 강 | 堯曰 第二十 : 子張曰 何謂四惡이닛고 |
09분 15초 |
수강
-
|
| 20-11 강 | 堯曰 第二十 : 尹氏曰 告問政者多矣로되 |
02분 57초 |
수강
-
|
| 20-12 강 | 堯曰 第二十 : 3. 子曰 不知命이면 |
02분 14초 |
수강
-
|
| 20-13 강 | 堯曰 第二十 : 不知禮면 無以立也요 |
01분 12초 |
수강
-
|
| 20-14 강 | 堯曰 第二十 : 不知言이면 無以知人也니라 |
04분 01초 |
수강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