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공자가어(孔子家語)의 구성
공자가어(孔子家語)는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과 사상을 기록한 것이다. 공자가어에서 ‘가(家)’는 한 집단의 학술이나 예술의 한 유파를 지칭한 것이므로 ‘공자가어’라는 책이름은 공자와 그 제자들로 구성된 유가집단의 이야기임을 밟힌 것이다. 한서예문지(漢書藝文志)에 공자가어 27권에 대한 기록이 남아 있으나 이 27권은 실전되어 지금은 남아 있지 않고 지금 현존하는 공자가어는 위(魏)나라의 왕숙(王肅 195~256)이 편찬한 책으로 총 10권 44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2. 위서에 대한 논쟁과 반론
그동안 학계에서는 왕숙이 거짓으로 꾸며 지은 것으로 보아왔다. 그러나 근자에 하북성 정현에서 출토된 죽간(竹簡)을 근거로 위서(僞書)로 여겨서는 안 되며 신뢰해야한다고 학계에서 다시 주장되고 있다.
공자가어에 수록된 260가지의 이야기는 좌전(左傳), 서경(書經), 예기(禮記) 등 유가경전과 선진시대 제자백가들이 기록인 장자(莊子), 열자(列子), 순자(荀子), 한비자(韓非子), 여씨춘추(呂氏春秋) 및 한나라 때 사기(史記), 설원(說苑), 등에서 수록된 내용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이 대부분이다. 이 이외에 나머지는 원문의 차서를 뒤바꾸거나 요점만 압축하여 수록한 것이다.
3. 유가에서의 공자가어 가치
공자가어의 가치는 책의 진위여부를 떠나서 이미 오랫동안 전해져 내려왔고 여러 전적에 수록된 공자와 그 주변 인물들의 이야기를 집대성하여 여러 방면으로 공자의 말씀과 고사, 사상을 행적과 사례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칭송한 것이기 때문에 유가경전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공자와 제자들의 행적과 사상을 연구하거나 유가적 수양방법으로 자신을 성찰하고자 하고 중국의 고대문화를 연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반드시 읽어야 할 문헌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이 바로 이 공자가어이다. 조선시대 선비들도 이 공자가어를 교양서이자 수양서로 많이 읽었다고 한다.
4. 본 강좌의 교재는?
교재는 ‘학민문화사’에서 편찬한 ‘공자가어(孔子家語)’입니다. 이 책에는 내용이 두 차례 반복되어 수록되어 있는데, 처음부터 226쪽까지는 공자의 후손인 공맹에게서 얻은 글에 왕숙이 주를 단 것이고 후반부의 227쪽부터는 일본사람들이 공맹의 글에 왕숙뿐만이 아니라 여러 사람들의 해설과 주를 모아서 수록한 것입니다. 그리고 책 위에 작은 글씨는 주로 일본사람들의 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구입은 대전 학민문화사(042-625-0828)로 문의하시면 됩니다.
5. 본 강좌는 이렇게 진행됩니다.
본 강좌의 수업은 교재인 공자가어의 본문과 왕숙의 주석을 중심으로 한문 원문을 강독(講讀)하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본 강좌는 [第十五] 六本 까지 등재되었습니다.
저서 : 『선현들의 자와 호』
역서 : 『역주 당송팔대가문초 왕안석』
1-1 강 | 第一 [相魯] 孔子初仕, 為中都宰 ~ | 38분 26초 | 수강 - |
1-2 강 | 定公與齊侯會于夾谷 ~ | 1시간 11분 59초 | 수강 - |
2-1 강 | 第二 [始誅] 孔子為魯司寇, 攝行相事 ~ | 49분 14초 | 수강 - |
2-2 강 | 孔子為魯大司寇, 有父子訟者 ~ | 54분 12초 | 수강 - |
3-1 강 | 第三 [王言解] 曾子閑居, 曾參侍 ~ | 50분 39초 | 수강 - |
3-2 강 | 曾子曰 敢問何謂七教? | 58분 59초 | 수강 - |
4-1 강 | 曾子曰 敢問何謂三至? | 51분 47초 | 수강 - |
4-2 강 | 第四 [大昏解] 孔子侍坐於哀公 公曰~ | 1시간 02분 50초 | 수강 - |
5-1 강 | 公曰 敢問何謂敬身? | 58분 33초 | 수강 - |
5-2 강 | 公曰 敢問儒行? | 52분 22초 | 수강 - |
6-1 강 | 儒有忠信以爲甲冑 ~ | 1시간 14분 14초 | 수강 - |
6-2 강 | 儒有合志同方 營道同術 ~ | 21분 09초 | 수강 - |
7-1 강 | 第六 [問禮] 哀公問於孔子曰 ~ | 1시간 07분 41초 | 수강 - |
7-2 강 | 太古之時 燔黍擘豚 ~ | 38분 37초 | 수강 - |
8-1 강 | 第七 [五儀解] 哀公問於孔子曰 ~ | 1시간 00분 04초 | 수강 - |
8-2 강 | 公曰 善哉!非子之賢 則寡人不得聞此言也 ~ | 49분 53초 | 수강 - |
9-1 강 | 哀公問於孔子曰 吾聞君子不博 有之乎? ~ | 50분 48초 | 수강 - |
9-2 강 | 哀公問於孔子曰 智者壽乎? 仁者壽乎? ~ | 51분 12초 | 수강 - |
10-1 강 | 魯有儉嗇者 瓦鬲煮食食之 ~ | 53분 43초 | 수강 - |
10-2 강 | 孔子曰 季孫之賜我粟千鍾也 而交益親 ~ | 1시간 03분 20초 | 수강 - |
11-1 강 | 孔子適齊中 路聞哭者之聲 其音甚哀 孔子謂其僕曰 ~ | 51분 42초 | 수강 - |
11-2 강 | 子路見於孔子曰 負重涉遠 不擇地而休 ~ | 59분 41초 | 수강 - |
12-1 강 | 楚王渡江 江中有物 大如斗 ~ | 58분 53초 | 수강 - |
12-2 강 | 第九 [三恕] 孔子曰 君子有三恕 有君不能事 ~ | 56분 43초 | 수강 - |
13-1 강 | 孔子觀於東流之水 子貢問曰 ~ | 58분 39초 | 수강 - |
13-2 강 | 子貢問於孔子曰 子從父命 孝臣從君命 貞乎 奚疑焉? ~ | 42분 45초 | 수강 - |
14-1 강 | 子路問於孔子曰 有人於此 披褐而懷玉 何如? | 56분 44초 | 수강 - |
14-2 강 | 孔子曰 吾於甘棠 見宗廟之敬也甚矣 ~ | 53분 31초 | 수강 - |
15-1 강 | 曾子曰 狎甚則相簡 莊甚則不親 ~ | 1시간 01분 39초 | 수강 - |
15-2 강 | 孔子曰 小辯害義 小言破道 關雎興于鳥 而君子美之 ~ | 45분 23초 | 수강 - |
16-1 강 | 第十一 [觀周] 孔子謂南宮敬叔曰 吾聞老聃博古知今 ~ | 52분 23초 | 수강 - |
16-2 강 | 孔子觀乎明堂 覩四門墉有堯舜與之容桀紂之象 ~ | 56분 02초 | 수강 - |
17-1 강 | 第十二 [弟子行] 衛將軍文子問於子貢曰 ~ | 1시간 01분 55초 | 수강 - |
17-2 강 | 恭老䘏幼 不忘賓旅 好學博藝 省物而勤也 ~ | 42분 44초 | 수강 - |
18-1 강 | 學之深 送迎必敬 上交下接若截焉 ~ | 1시간 00분 08초 | 수강 - |
18-2 강 | 凡此諸子 賜之所親覩者也 ~ | 49분 05초 | 수강 - |
19-1 강 | 孔子曰 何謂其然? 亦略舉耳目之所及而已 ~ | 52분 19초 | 수강 - |
19-2 강 | 哀公問於孔子曰 寡人聞忘之甚者 徙而忘其妻 有諸?~ | 56분 08초 | 수강 - |
20-1 강 | 孔子閒處 喟然而歎曰 ~ | 59분 48초 | 수강 - |
20-2 강 | 第十四 [辯政] 子貢問於孔子曰 昔者齊君問政於夫子 ~ | 56분 53초 | 수강 - |
21-1 강 | 子貢問於孔子曰 夫子之於子產 ~ | 1시간 07분 32초 | 수강 - |
21-2 강 | 子路治蒲三年 孔子過之 入其境曰 善哉由也!~ | 45분 50초 | 수강 - |
22-1 강 | 孔子見齊景公 公悅焉 請置廩丘之邑以爲養 ~ | 49분 29초 | 수강 - |
22-2 강 | 孔子讀易 至於損益 喟然而嘆 ~ | 57분 45초 | 수강 - |
23-1 강 | 荊公子行年十五而攝荊相事 孔子聞之 ~ | 54분 37초 | 수강 - |
23-2 강 | 孔子曰 吾死之後 則商也日益 賜也日損 曾子曰 何謂也?~ | 44분 15초 | 수강 - |
24-1 강 | 孔子曰 中人之情也 有餘則侈 不足則儉 ~ | 43분 28초 | 수강 - |